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는 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시베리아호랑이랑 정말 형제니?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이항
교수
팀이 한국호랑이(또는 백두산호랑이)랑 시베리아호랑이(또는 아무르호랑이)가 한 형제라는 걸 밝혔어요. 연구진은 한국호랑이 뼈 조각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뽑아 분석했어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가장 최근 나온 ‘멀티 유니버스’의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교수
는 이 분류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에 소개된 다중우주의 순서는 4단계 우주와 거의 비슷하다. 이 기사에서는 끈이론과 관련한 부분을 따로 파트로 묶었기 때문에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프랑스의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고등과학원 물리학과 석좌
교수
이기도 한 레너드 서스킨트 전 미국 스탠포드대 물리학과
교수
는 이렇게 다양한 에너지 안정도를 지닌 광범위한 상태 목록의 조합을 봉우리와 골짜기가 있는 자연에 비유해 ‘풍경(또는 경관. 랜드스케이프)’이라고 이름 지었다.등장 풍경 속 다중우주의 탄생◀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05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
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박테리아의 DNA를 파괴해 제거한다”며 “플라스마를 이용해 세균을 파괴하면 내성이 생기지 않아 항생제보다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05
오랑우탄이 나무 위에 지은 집의 구조다. 로널드 에노스 영국 맨체스터대 생명과학부
교수
팀은 오랑우탄이 집를 지을 때 지능적인 건축공학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4월 16일 발표했다.오랑우탄은 단 하룻밤 깊은 휴식을 취하기 위해 집를 만들고 다음 날이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05
알라스카에서는 이산화탄소(CO2)와 함께 질소(N2)도 주입했다. 이 기술은 원래 KAIST 이흔
교수
팀이 지난 2006년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산소원자 사이의 수소결합으로 여러 개의 작은 방이 벌집처럼 모여 있고, 방마다 메탄이 하나씩 들어가 있는 구조다. 큰 방과 작은 방의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05
동안 한국과학기술단체연합회, 산림청의 도움으로 필리핀국립대 레니 카마초(Leni Camacho)
교수
와 함께 맹그로브 숲의 탄소 흡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맹그로브 숲이 갖고 있는 또 다른 장점을 찾기 위한 연구였다. 심은 지 15년, 20년, 40년 된 맹그로브의 크기와 무게를 재고 함유하고 있는 탄소의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05
전기화학을 기초로 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는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광받고 있다. 이 분야의 선두주자인 서울대 ‘광 및 전기화학 에너지 연 ... 경제를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에너지와 관련 분야를 연구할 수 있게 도와준
교수
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05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버드대 천문학자이자 베르타의 지도
교수
인 데이빗 샤르보노가 시작한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아리조나주에 위치한 자동화 소형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05
버틸 수 있는 최적의 형태는 돔 모양의 쉘(shell) 구조다. 이필승 KAIST 해양시스템공학전공
교수
는 “돔 구조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내벽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의 건설 재료로 최대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게와 압력을 곡면을 따라 균등하게 분할해 지탱할 수 있기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