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8,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05
홀 저항은 옴의 법칙(R=V/I)에 따라 유도된 전압차를 전류로 나눈 값을 갖는다. 그런데
모든
반도체 소자는 필연적으로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 대부분의 과학자는 반도체 소자의 저항 값이 소자가 함유한 불순물 양에 따라 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그러나 놀랍게도 1980년 폰 클리칭 박사는 절대온도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05
서해문집 | 296쪽 | 1만 2500원이 책은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인간의
모든
감각을 집대성한 개념어 사전이다. 감각과 지각과 인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해 감각론의 역사,동물 감각기관의 진화과정, 인간 감각 능력의 발달과 노화과정까지 우리 일상생활을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05
온 사신이나 국빈을 대접하는 잔치인 ‘연향’(宴享)에 쓰였다.편경은 이런 의식에서
모든
악기를 조율하는 데 쓰이는 중요한 악기였다. 돌로 만든 편경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아 일정한 음색과 음높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경이 없는 악기 편성에서는 대금이 편경을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05
소자 분야를 개척해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한 연구 분야다. 광자(photon)가 관여하는
모든
물리계와 응용시스템을 연구하는 이 첨단 과학에 공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 ... ...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05
LMO)란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 새로운 조합의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체를 말한다. 현대 생명공학기술이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하거나 유전자를 구성하는 핵산을 세포 또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직접 주입하는 기술로, 전통적인 육종이나 선발(選發)에서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05
점에서 재생 의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플라나리아에 주목한다. 플라나리아는 몸의
모든
세포와 조직을 만들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가 온 몸에 골고루 분포돼 있다. 몸을 100조각으로 나누면 100개의 조각 모두가 자르기 전 성체의 모습으로 재생된다. 머리 부위를 여러 조각으로 베면 머리가 여럿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05
한다. 한편 식물은 동물과 다른 방식으로 영양소를 얻는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녹색식물은 이산화탄소, 물, 소금 그리고 질소와 같은 간단한 물질로부터 세포물질을 만들어내는 신비로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광합성이라고 알려진 식물의 이러한 활동은, 음식물을 통해 영양소를 만들어내는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아무리 만물의 영장이라지만 ‘생산자’인 식물에 기대 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정말
모든
동물은 종속영양체일까. 육상동물은 그럴지 모르지만 바다에는 동물이면서도 광합성을 하는 생명체가 있다. 바다에 사는 갯민숭달팽이 종류인 엘리지아(Elysia chlorotica)가 그 주인공이다. 물론 이 녀석의 몸 ... ...
인도의 권위와 자부심으로 물든 블루시티 조드푸르
과학동아
l
200904
최근 개봉해 화려한 색감과 미장센으로 호평받은 판타지 영화 ‘더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을 보면
모든
건물이 파란빛으로 반짝이는 환상의 도시가 등장한 ... 코발트블루의 바다가 연상되는 ‘블루시티’ 조드푸르.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왜
모든
건물들을 파란색으로 칠한 걸까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04
잠열이 구름의 성장을 도와 집중 호우를 발생시킨다”고 말했다. 사실상 에어로졸은
모든
기상 현상에 참여하고 있는 셈이다.에어로졸은 IPCC 보고서에서 수많은 메커니즘에 관여하면서도 그 영향력이 정량적으로 규명되지 못해 ‘불확실성이 많은 환경인자’로 분류돼 있다. 조만간 과학자들의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