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했기에 부상당한 병사에게 의수를 만들어줬다. 당시는 신분 차별이 엄연했던 때라 모든 이가 파레의 의수를 쓸 순 없었다. 개별 제작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만든 의수는 ‘르 쁘띠로렝(작은 로렌 사람)’이라는 이름과 함께, 전장에서 왼팔을 잃은 프랑스 장군에게 바쳐졌다. 그 장군이 의수를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자를 바라보았다.달의 뒷면에 머물러 있던 외계인의 우주선은 지구에 내려가 있던 모든 모자의 신호가 끊긴 것을 확인했다. ‘신성호’가 웜홀에 휘말리고 지구 인류가 멸종할 당시 우주선을 조종하던 책임자들은 그로써 죄를 갚고 벌을 받았다. 집행관이 수거한 반대의견자들은 절대영도 상태로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5mm, 높이가 1.7mm로 모두 똑같아요. 또 원기둥 사이의 거리는 3mm로 정해져 있지요. 그래서 모든 레고 블록이 서로 잘 맞는답니다. 이 규칙은 초기 레고부터 적용돼 왔기 때문에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맞출 수 있답니다.[가로에 요철이 4개, 세로에 요철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런데 생각해 보니 헤드셋에서 나오던 영상도 놀라웠어. 머리 위부터 발 아래까지 모든 곳을 다 보여 줬거든. 그래서 더 진짜처럼 느껴졌던 게 아닐까?렌즈를 늘리거나 특수 렌즈를 쓰거나~잠시 어과동에서 눈을 떼고 방안을 둘러보세요. 천장, 벽, 바닥으로 둘러싸여 있을 거예요. 내가 고개를 돌릴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것, 그리고 또 모든 세상이 가상공간인 것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가상현실은 모든 상황이 가상으로 구현된다. 사용자는 가상의 아바타로 바뀌고, 주변 환경은 모두 가상으로 만든 이미지다. 현실과 똑같은 공간에 가상의 물체가 있는 경우도 있다. 바로 증강현실이다. 증강현실은 현실 ... ...
- [수학동아클리닉] 변신! 정십이육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정육면체로 바뀐다. 도형이 어떻게 변신하는지 알아보자.순환하며 변신하는 정다면체모든 면이 합동인 정다각형으로만 이뤄진 정다면체는 오직 다섯 가지 뿐이다. 정다각형 하나로만 이뤄져야 하며, 다각형 면들이 한 꼭짓점에 모일 때 각도의 합이 360˚보다 작아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 때문이다.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의 신체기관 중 가장 신비로운 부분을 꼽으라면, 바로 뇌입니다. 한 사람의 모든 걸 결정하는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너무나 많아서 연구자들에겐 더 매력적이죠. 뇌는 하나의 기관이지만, 오만 가지의 일을 다 합니다.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도 다 뇌에서 신호가 발생해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기화학장치를 사용한 것이다. 다만 하나의 전기화학장치가 엽록소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과정을 대체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세분화된다.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 전기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산소를 만드는 과정,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환원해 다른 물질로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특대교로 무려 165km, 서울에서 대전까지의 거리다. 워낙 길다 보니 논, 운하, 강,호수 등 모든 지형을 다 가로지른다. 이 다리는 상판과 교각으로만 된 가장 단순한 거더교 형태다. 다리는 생긴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가장 대표적인 형태가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다. 다리를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X선을 쏘는 것이다. 회전하며 촬영한 이미지들을 변환시켜 결합해야 하는데, 촬영기계가 모든 각도를 연속으로 촬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엑스선이니 너무 많이 찍으면 환자에게 해가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적절한 간격으로 촬영한 뒤 사진들을 보정하고 종합해야 한다. 더구나 치아 ... ...
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3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