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핵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여부는 새어 나온 방사성 물질의 성분비를 측정해서만 알 수 있다. 최희동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핵분열이 일어나면 붕괴 후 나오는 물질의 비율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며 “변화하는 비율은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각기 다르다”고 말했다. 아주 어려운 작업이지만, 이를 역추적하면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차가운 온도는 음의 무한 온도다. 온도가 낮아지는데 어떻게 뜨거워질 수 있을까.신용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음의 온도 체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뜨거워지는 까닭은 온도를 표기하는 방식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온도에 역수를 ... ...
- 내 마음이 보이니? 여론조사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봐요. 그런데 강남역 앞에서 조사를 한다면 어떨까요? 이 조사는 믿을 수 없습니다. 서울시민들이 표본으로 뽑힐 확률이 같지 않기 때문이에요. 조사 시간에 강남역에 가지 않는 사람은 뽑힐 확률이 0%이고, 강남역에 있는 사람들만 뽑힐 가능성이 높게 되거든요.그렇다면 무작위 추출의 옳은 예는 ...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더욱 사랑에 빠질 수 있을 것 같다.수학이 있어야 더욱 빠르게 발전하는 천문학!허지원(서울 동국대부속여중 3)무엇보다 박사님께서 직접 종이에 방정식을 풀고, 친절하게 설명해 주셨던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 소행성의 지구 접근과 관련해 타원 방정식, 피타고라스의 정리, 케플러의 법칙 등 여러 ... ...
-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독자기자단은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며 기자 간담회에 적극 참여했다. 특히 이유빈(서울 신길초 6) 독자기자는 ‘이수근 아저씨는 애니메이션 녹음을 하면서 아들 생각을 얼마나 했는지’와 같은 질문으로 어린이 기자단의 궁금증을 풀어 주었고, 그 결과 ‘눈의 여왕 명예어린이 기자’를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그런데 팰콘 HTV-2가 기록한 최고 속도는 무려 마하 20(시속 2만 4500km). 이 속도라면 서울에서 뉴욕까지 30분 만에 갈 수 있다.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하거나 불의의 사고로 고장 나는 그 순간까지 지구 주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한다. 만약 고고도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기도 한 번 이륙한 뒤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나쁘거나 안테나 표시는 있는데도 정작 인터넷이 잘 실행되지 않는 것이다. 최성현 서울대 교수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지하철역 등 핫스팟(hotspot) 지역에서 쓰는 공용 와이파이의 경우 1번, 5번, 9번, 13번 채널만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해 그렇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전송대역이 겹치지 않은 ...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비교적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가면서 대량으로 수증기가 유입돼 구름이 생겼다. 12월에 서울을 비롯한 우리나라 서쪽에서 눈이 많이 온 이유다.여름 강수량만큼 눈이 온다면눈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겨울에도 여름에 비오는 것처럼 눈이 왔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뭐든지 적당한 것이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30cm 크기의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데 이런 해상도로 24시간 동안 7600km2를 촬영할 수 있다. 서울시의 10배가 넘는다.또 지상에서 움직이는 타깃만을 찾는 모드(MTI)를 사용하면 무려 1분 만에 경기도 넓이에 조금 못 미치는 1만 5000km2 지역을 정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반도에 불필요한 ... ...
- 양력 VS 음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저랑 동생은 양력 생일이래요. 음력과 양력은 어떻게 다른가요? 알려 주세요!강서윤 서울 포이초 6 양력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1년으로 정해 날짜를 세는 방법이에요. 그래서 태양력이라고도 부르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보통 얘기하는 날짜는 양력이에요. 5월 5일 ... ...
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3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