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리보솜 온도를 영하 185도로 낮춰 안정적인 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
하게 돼요. 덕분에 리보솜의 3차원 구조를 밝혀 낼 수 있었답니다. ▲ 세포 내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의 3차원 구조. ▲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는 요나트 박사. 그는 리보솜의 정밀 구조를 밝힌 업적을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몬스터를 잡아먹는다는 사실! 너희 둘이 함께 있을 경우엔 예외지만 말이다. 자, 그럼
성공
을 빈다.”진흙 몬스터가 몸을 돌려 돌아가려다 덧붙여 말했다.“ 아, 그리고 한 번에 한 명씩만 배에 태울 수 있다는 걸 명심해라. 안 그러면 배가 늪으로 빠진다.”대왕 진흙 몬스터의 명령이 떨어지자 푸른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않은 수건을 집어드는 것은 물론, 그 모양을 확인해 제대로 접을 수 있어요. 게다가
성공
률도 81%나 된답니다.정말 완벽한 로봇이네요! 이런 로봇이 집에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와우~!아직 완벽하진 않아요. PR2 로봇은 빨래를 개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수건 한 장을 접는 데 약25분이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대회의 개최지로 결정됐지.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뿐 아니라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를
성공
적으로 이끄는 밑거름이 될 거야.세계 속 우리나라 수학 우리나라의 수학 등급은 1981년 국제수학자연맹에 처음 가입할 때 가장 낮은 1등급이었어. 1993년 2등급으로 올랐지만 1999년에는 3등급으로 올리는 데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취재진들이 함안으로 몰려왔게요. 연꽃의 경우 중국에서 1300년 전 씨앗이 발견돼 발아에
성공
한 기록이 있습니다. 1300년 전이면 당나라 시대인가요. 가장 오래된 씨앗은 2005년 싹을 틔운 2000년 된 대추야자 씨앗입니다. 예수 시대의 유적을 발굴하다 찾아낸 씨앗을 이스라엘 과학자들이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서울을 비롯한 한국의 도시도 함께 뛰어들어 경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결국
성공
여부는 관이 얼마나 시민들과 소통된 정책을 내놓고, 시민들의 참여 속에서 잘 추진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카사바의 전분 조절 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전분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는 데
성공
해 아밀로오스 함량이 50%나 많은 카사바를 만들었다. 전분이 많으면 타피오카도 많이 얻을 수 있지만 바이오에탄올 생산량도 증가한다.‘입을 즐겁게 하는’ 쫄깃쫄깃한 카사바가 식량위기를 해결하고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세포)로 분화하게 했다.혹시나 해본 실험이
성공
해EGF는 조직배양시 세포가 생존을 유지하고 분열할 수 있게 해주는 물질로 쓰였기 때문에 그리 놀라운 결과는 아니었다. 태아의 뇌에는 신경세포와 교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LCD의 반사율을 조절해 탐사선의 자세를 조정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카로스의 임무가
성공
할 경우 50m 크기의 태양돛을 단 목성 탐사선 프로젝트가 2020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공기도 없는 우주에서 태양돛을 펼친 우주비행체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원동력은 ‘태양돛’이라는 이름에서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얼마 전 국내에서는 최초로 짠맛을 흉내 내는 ‘짠맛 조절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 소금이 아닌데도 뇌를 깜빡 속여 마치 소금을 먹은 듯이 짠맛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간장 빚다 찾아낸 ‘가짜 짠맛’ 우리가 이 물질을 찾아낸 재료는 3~4년 묵은 ‘재래간장’이었다. 메주에 소금과 물만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