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시도해 왔다. 최근까지
알
려진 평균 불임률은 99.8%다. 얼핏 꽤 높은 듯 하지만 100만 개
알
이 한 양식장에서 자란다고 생각하면 불임에 실패한 숫자가 2000마리로 결코 적지 않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신경다발을 발견했다.정말로 이 신경다발들이 감정을 조절할까.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다. 4개의 신경다발은 시상하부에서 시작해 희노애락을 조절하는 전두엽으로 이어진다. 이 부분을 시상-대뇌변연계 연결다발이라고 하는데, 사람을 사람답게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화를 잘 참는 사람이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카우보이를 떨어트리기 위해 날뛰는 동작이 자신이 예측한 패턴과 똑같다는 것을
알
아냈다. 그런데 이같은 동물의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다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다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맞는 음료를 선택해보자’고 했는데 밀도 차이로 자신에게 맞는 음료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아스파탐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더 조사해 썼다면 독자의 궁금증을 더 잘 풀어 줬을 것입니다. 글의 흐름에서 기사 전체 맥락과 맞지 않는 내용은 과감하게 빼는 것도 ... ...
홈스테이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그거 진짜 위험한 거라며? 어떻게 진짜로 소리만 딱 듣고 아냐. 나는 그거 허풍인 줄
알
았는데. 아무튼…….”희나가 쉬지도 않고 말들을 쏟아냈다. 나는 끼어들 틈조차 찾을 수가 없었다.‘아무나 한 명만 말하면 되지 뭐.’내가 찌른 침입자는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했다. 사과깎는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장윤지 왜 화학공학과가 아니라 ‘화학생물공학과’인가요?오늘날 쓰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석유화학으로 만든 제품입니다. 그런데 만약 석유가 고갈되거나 귀해지는 ... 합니다. 정답이 없는 다양한 수준의 열린 형태 문제들을 다루면서 틀에 갇혀있던 사고가
알
을 깨고 나오게 됩니다 ... ...
네안데르탈 학당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환경 속에서도 사냥을 하고 채집을 했습니다. 적갈색 안료를 사용해 몸을 치장할 줄
알
았으며, 죽은 사람을 정성을 들여 매장하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어쩌면 그들은 사람 못지않게 유창한 말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심지어 현생인류의 독창적인 발명품이라고 생각했던 동굴 벽화 역시 ... ...
[7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날씨가 덥고 습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은 여러 종류의 음료를 찾는다. 그중 가장 인기가 많은 것은 스포츠 음료와 탄산음료다. 대표적인 탄산음료로는 콜라가 있다. 근데 ... 읽고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성질인 것들을 찾아 서로 분석해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
아보면 어떨까 ... ...
세계에서 가장 깊은 지하수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자료를 모아, 전 세계 땅의 약 22~32%가 천부지하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아냈지요. 또 천부지하수가 얕은 곳에서 흐르는 지역은 대부분 습지가 잘 발달했다는 점도 확인했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관리하고 습지 생태계를 보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줌으로써 공주의 수수께끼를 푼 것이다.초대받지 못한 손님 1313은 흔히 불운의 숫자로 잘
알
려져 있다. 어디서부터 이런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고대 노르웨이의 신화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노르웨이의 ‘반할라’ 신전에서는 신들을 초대하는 잔치가 열리고 있었다. 12명의 신은 모두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