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과학상 양성소 일본 교토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진 역분화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러자 교토대는 2년 반 만에 이를 위한
연구소
를 설립해신야 교수의 연구를 지원했다. 이곳은 개방형 실험실과 세포배양 처리시설 등 역분화줄기세포 연구에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지난해 10월 당시 교토대에 유학 중인 학생의 수는 1736명으로, ... ...
엄마 없는 원숭이 평생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일은 흔하다. 그런데 원숭이도 사람과 마찬가지였다.중국 국가중점실험실 뇌인지과학
연구소
연구팀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호에 아기 원숭이가 어미 원숭이와 떨어져 받는 스트레스는 평생 동안 후유증으로 남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어미와 떨어져 자란 원숭이와 어미와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개발했다. 이 잠수함은 1953년 4049m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했다. 1957년 미국 해군
연구소
는 피카르 교수로부터 트리에스테 호를 사들여 여러 곳을 개조해 트리에스테 2호기를 만들었다. 결국 미 해군은 1960년 세계최초로 바닷속 1만 916m 깊이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성급하게 기후변화를 말하는 것은 무리였다.6년이 지난 2011년 5월 21일 횡성군 갑천면의
연구소
주변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했다. 애벌레를 채집한 것은 바람에 몸을 맡겨 이동하는 어른벌레를 확인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번식을 위한 진출로 추정할수 있으며 이미 4∼5월 중에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GIST에는 노벨상 수상자 3명이 센터장으로 있는
연구소
3개가 운영 중이다. 학생들은 1년에 몇 차례씩 이곳을 방문해 노벨상 수상자들을 가까이서 만날 수 있다.[이관행 대학장] 기초 튼튼 ‘12과목의 법칙’GIST의 수업은 인문·사회를 제외한 모든 과목을 영어로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에 팔렸어요.한 마리에 100만 원인 유전자변형쥐도 있어요. 일본 국립암센터 실험동물중앙
연구소
가 1980년대에 개발한 유전자변형쥐가 그 주인공이에요. 이 쥐는 암 관련 유전자인 ‘라스에이치투(RasH2)’를 없앤 건데 일반 실험용 쥐가 1만 원정도 하는 걸 생각하면 우리를 만드는 게 얼마나 큰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본 과학자들은 1~2년 전부터 오키나와대와 류쿠대의 아열대
연구소
들의 명칭을 ‘열대
연구소
’로 바꾸고 일찌감치 열대 바다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아열대수산연구센터 장대수 소장은 “기후변화를 극적인 위기로 겁낼 것이 아니라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특히 제주도는 아열대화의 ... ...
해양연 열대해양체험 이벤트 합격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1차 합격자들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❶ 최오하 학생의 장필훈 국립기상
연구소
연구원 인터뷰 모습. ❷ 신윤 학생이 직접 수중 촬영한 갯녹음 현상.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들어갈 수조차 없다니. 장마가 소강이라
연구소
앞바다는 잔잔하고 평화로웠지만,
연구소
는 경비가 삼엄했다. 국가적 관심사가 집중된 자원 생산 시설이라는 사실이 물씬 느껴졌다.“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다른 나라 연구자가 이 시설을 보면 금세 따라 할 수 있거든요. 아이디어가 핵심이에요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는지를 밝히지 못했다. 발표 당시 기자회견에 참가한 미국 플로리다 주 응용분자진화
연구소
의 스티븐 베너 박사는 “비소가 인 대신 DNA를 잇는 사슬 역할을 한다면 고리가 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므로 DNA가 파괴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다른 분자를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