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3분의 1
줄
여야 한다(실제로 생태발자국은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인구를
줄
인다고 해결되지 않는다).생태발자국이 생태계의 부담 범위를 넘었다는 것은 현재 인류가 이미 지구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언젠가는 모두 소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더구나 오늘날 인류는 단순히 ... ...
세계적인 명문고를 꿈군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 완성된다. 능력이 뛰어나도 다른 사람을 생각할
줄
모르는 인재는 사회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현대고는 학생들의 우수한 학업 뿐만 아니라 인성 함양에도 노력한다. 1인 1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적어도 한 가지의 운동과 악기를 배운다. 체력 단련 프로그램과 방과 후 학교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우리나라에 있는 가로등 270만 개를 LED조명으로 모두 바꾸면 1년간 약 112만MWh*를
줄
일 수 있다고 해요. 이렇게 절약한 전력은 4인 가족 75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랍니다햇빛 대신 식물을 키운다!이렇게 조그만 데서 그렇게 밝은 빛이 나오다니 정말 신기하구먼~. 잠깐! 이 빛이라면 내가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숲의 가치를 구할 때 필요하다. 숲을 없애고 공장을 짓는 것보다 우리에게 많은 만족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공장을 통해 만들어지는 물건의 가치는 눈에 바로 들어오지만, 숲의 가치는 쉽게 알기가 어렵다. 비용편익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숲처럼 구하기 어려운 가치를 숫자로 ... ...
[정보] 겨울방학, 수학곰 퇴치 대 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 수 있다. 점차 활용문제를 출제하는 노하우가 생기면서 두려움이 없어지고, 실수를
줄
일 수 있게 된다.❹ 스스로 만든 문제집(제1권)을 풀고, 틀린 문제는 반드시 오답노트(제2권)를 작성한다. 이 때 풀이 과정을 정확하게 작성해 본인의 약점을 점검한다. 복습은 전년도에 배운 1년 과정을 전부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미 많은 사람들을 돕고 있어요. 예를 들어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사람에게 장기를
줄
수 있는 돼지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특정한 병에 걸리게 한 쥐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약을 개발할수 있게 도와 주고 있답니다." 염영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의학연구센터장)조선왕조 실록의 다섯 마리 ... ...
폴, 이상한 나라로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운동장을 공평하게 나누는 데 성공하는데….“허, 이것 참 의외로군. 내 퍼즐을 풀
줄
이야. 폴, 미션에 성공했으니 네게 주사위를 한 개 주마.”“네? 미션이라고요? 주사위는 왜 주는….”뮤클리드는 자기가 할 말만 하더니 폴의 질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사라졌다. 당황한 폴이 폴리스에게 물었다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표정을 나타내는 얼굴 근육으로도 쓸 수 있다. 안면마비 환자에게 웃음을 찾아
줄
수 있는 기술인 것이다.“우리가 새로운 형태의 로봇을 만드는 이유는 여기 있습니다. 로봇을 만들 때마다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 새로 나오기 때문이죠. 앞으로도 계속 이런 로봇을 만들 생각입니다.”[사진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안준석 학생이 마스크를 쓰고 배 내부에 니스를 바르기 시작했다. 다른 학생은 사포와
줄
을 이용해 배를 다듬었다. 선생님은 모든 작업을 지휘하며 학생들이 작업하는 것을 도왔다. 마치 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같은 풍경이다. 두 요트 모두 배가 하나의 나무판으로 된 게 아니라 여러 개의 긴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튼튼한 기둥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한다. 이 케이블에 다리 상판과 연결된
줄
을 매달아 상판을 단단히 잡고 있다. 현수교의 케이블은 아치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바로 이런 구조로 인해 긴 상판이 받는 하중을 양쪽의 교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어서 무거운 하중도 견딜 수 있다. 뿐만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