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d라이브러리
"
탄생
"(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2만6천명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으며, 보조생식술(ART)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탄생
시켰다. 미숙 난자 추출의 의미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여 시행하는 모든 시술을 보조생식술이라 일컫는다. 대표적인 생식보조기술로는 체외수정 시술을 비롯해서 생식세포 난관내 이식술(GIFT), 수정란 난관내 이식술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회로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축소해 몸체에 탑재한 생체공학 바퀴벌레 ‘로보로치’를
탄생
시켰다. 로보로치란 로봇(robot)과 바퀴벌레(cock-roach)를 합성한 이름.최근 그 모습을 드러낸 이 로봇의 신경시스템에 얇은 전극을 이용해 전기적인 자극을 주면 명령에 따라 좌우로 돌거나 앞으로 돌진한다. ... ...
인터넷도 맞춤 시대 푸시 열풍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지금 '밀어내기'열기로 가득하다. 웹의
탄생
에 버금가는 혁명으로 불리는 푸시테크놀러지는 필요한 정보를 앉은 자리에서 받아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웹 방송을 가능케 하고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업그레이드해준다. 인터넷 정보 전달의 커다른 흐름인 푸시의 모든 것을 밝힌다.지금 인터넷은 온통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양산해낼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근대과학의 대표적 산물인 사진기술이
탄생
한 뒤 유령이나 영혼을 찍었다는 주장이 적지 않았음은, 이같은 우려가 단지 공상 차원에 머물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세계 회의론자 회의에서 학자들이 크리스 카터를 공격했던 것처럼 텔레비전에 진짜 ... ...
최초 자동차는 시속 3km의 세 바퀴 수레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승용차는 1936년).초기 주도권 전기자동차가 장악증기기관 이외에 다른 기관들의
탄생
역사를 알아보면 깜작 놀랄 사실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전기자동차의 역사다. 차세대 무공해자동차로 이제 막 실용화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잘못 알려진 전기자동차의 역사는 오히려 휘발유자동차보다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아무리 고도의 기술이라 할지라도 초기 수확률은 낮을 수밖에 없다. 한마리의 공룡을
탄생
시키기 위해 수천개의 공룡 수정란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많은 수정란을 키우기 위해서는 거대한 산업 공정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잃어버린 세계’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쥐라기 공원이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밀고 들어와 오리온성운에서 보여지는 물고기 입처럼 보인다. 전체 크기와 구조는 별이
탄생
되고 있는 장미성운과 흡사하다. 성단의 크기는 25광년 , 성운의 크기는 70광년이나 된다. 거리는 8천광년 ... ...
로스웰사건50주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외계인 시체가 발견됐다”고 주장했다.로스웰사건은 UFO를 믿는 사람들에겐 ‘예수의
탄생
’ 만큼이나 중요한 사건이다. 지금까지 목격된 UFO 사건 중 가장 확실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UFO의 잔해, 외계인의 시체 등의 증거가 발견됐다는 점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진실이야 어떻든 ... ...
① 복잡성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않은 컴퓨터 과학자였다. 인공생명(artificial life)이란 용어를 만들어서 1987년 이 학문의
탄생
을 공식적으로 천명한 세미나를 주관하면서부터 일약 화제의 인물이 되었다. 인공생명은 ‘생명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행동을 보여주는 인공물의 연구’라고 정의된다. 생물학에서는 생물체를 하나의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뉴트리노 연구의 대가 김정욱 박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개념’이란 유명한 시리즈에 참여해 뉴트리노에 관한 책을 썼다.대통일장이론은 어떻게
탄생
했는가전자기력과 약력이 전자기약력이론으로 통일되자, 1970년대부터 물리학자들은 전자기약력이론에 강력을 덧붙이려고 노력했다. 이것이 바로 대통일장이론이다. 대통일장이론은 입자물리는 물론,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