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어에 대한 궁금증 3가지
2016.11.13
분리된 공간에서 양식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지만 산업화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결국
문어를 먹으려면 열심히 포획을 해야한다는 뜻입니다. 배를 몰고 힘들게 통발을 친 득량도의 세 사람은 과연 순조롭게 문어를 득량할 수 있을 지 궁금해집니다. - 원문 : 동아사이언스 포털 ...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너무 많이 권합니다. 전부 다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1.13
예방접종을 하기도 전에 코로나 장염같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걸릴 수도 있을 거고요.
결국
무엇을 어디까지 하느냐는 개 주인의 ‘선택’이 되는 겁니다. 제 경우는 꾸준히 꼬박꼬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가끔 까먹어서 놓칠 때도 물론 있습니다). 각 예방접종을 꾸준히 하는 거지요. 특히 ... ...
모기 잡는 구피? 천만의 말씀!
2016.11.12
모기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한 구피의 사용은 사실 근절되어야 할 관행임과 동시에
결국
구피의 방생은 ‘훨씬 더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고 연구팀은 주장합니다. H. Krisp(W) 제공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 의견에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말라리아 컨소시엄’과 같은 곳에서 일하는 일부 ... ...
그린피스 “삼성, 수거한 갤노트7 재활용 계획 내놔야”
포커스뉴스
l
2016.11.10
내놓지 못해 엄청난 양의 자원이 낭비될 위기"라고 꼬집었다. 계속되는 기기 결함으로
결국
생산 중지된 갤노트7은 국내 시장에 판매된 55만대 중 30% 가량이 회수된 것으로 알려진다 ... ...
귀 없는 깡충거미가 소리를 듣는 방법은?
2016.11.08
알려져 있는데요. 이번 실험을 통해 그 감각모가 청각의 기능도 함을 확인한 것입니다.
결국
소리로 인한 공기의 진동이 거미로 하여금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지요. 한편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에 힘입어 다른 종류의 거미들도 청각 기능이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그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②] 캘리포니아 국립공원 산불, 火는 火로 잡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6.11.07
일종의 ‘연료’ 역할을 해 높은 나무에까지 불이 번지도록 부채질한다고 지적합니다.
결국
이전에 강제로 불을 끄면서 생긴 죽은 나무들이 다시 타들어가면서 조금 타오르다 꺼질 산불이 더 큰 산불로 이어지고 국립공원 전체를 훼손한다는 겁니다. 이 때문에 최근 미국 산림청은 ‘산불로 ... ...
과학자 성공 가능성 예측하는 ‘역량 평가’ 지수 나왔다
2016.11.06
좋은 연구 성과를 내는 시기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좋은 연구성과는 경험이나 나이와 상관이 없었던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생산성을 배제하고, 최고 인용수를 나타내는 연구 성과가 운(p)과 개인역량(Q)의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 내렸다. ‘최고인용수(C)=운(p) X ... ...
[퀴즈] 겨울에 진짜로 겨울잠 자는 동물은?
2016.11.05
추운 겨울을 앞두고 월동 준비가 한참일 것입니다. 일부 동물들에게 있어 월동 준비란
결국
‘동면’을 의미하겠지요. 이 동면과 관련된 연구결과가 있어 소개합니다. Petra Lahann(W) 제공 최근 미국 듀크대학교와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의 공동연구진은, 살찐꼬리난쟁이원숭이라고도 불리는 ... ...
겁쟁이 곰과 용감한 강아지들 ‘화제’
2016.11.04
개들은 더욱 공격적이다. 멍멍 짖다가 폴짝 뛰며 곰의 엉덩이를 공격하려고 한다.
결국
곰은 담을 넘어 달아났다. 공포에 질린 표정과 자세로 말이다. 세상에서 가장 용감한 강아지와 가장 겁 많은 곰이 출연한 영상은 해외 네티즌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화성에 사람 대신 ‘드론’ 보낸다!
과학동아
l
2016.11.03
약하다. 서호주 노스폴에서 마스2020 드론의 시제품을 시험 비행했다. - 문경수 제공
결국
NASA는 동일한 축 상에서 위, 아래 프로펠러가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는 동축반전식을 선택했다. 만약 비행체 중앙에 딱 하나의 프로펠러가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돌면 그에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