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일 밝혔다.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 휘어진다. 작은 물체를 크게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원리
를 이용해 만든 것이 안경이나 돋보기다. 이런 안경에 해당하는 과학용 관찰장비로는 ‘광학현미경’이 있다. 하지만 빛이 휘어지는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아무리 고성능 광학현미경이라도 200~300nm보다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에너지절약실천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에게 전기를 절약해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와
원리
를 알려주는 게 목적이다. 심 이사는 “지금까지는 냉장고 문 적게 열기, 피크 타임에 에어컨 끄기처럼 개인의 불편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절전 운동을 해왔다”며 “간편한 방법으로 상시적인 절전 운동을 ... ...
이순신 장군의 승리 비법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4.09.13
셈이다. 이뿐만 아니라 이날 수업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빼어난 활 솜씨를 통해 확률의
원리
를 배워보고, 학이 날개를 펼친 듯한 진법인 학익진에 담긴 수학을 살펴보기도 했다. 이날 학생들은 실제로 거북선을 종이모형으로 만들어 보는 것으로 수업을 마무리했다. 대전에서 수학동아 클리닉에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참가했던 수학 천재들의 공통적인 조언도 더 많은 문제풀이보다는 기초 개념과 기본
원리
의 이해를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해 그동안 교과교육 전문가 및 학교 현장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여 서로의 생각을 협의하고 조율해 왔다. 학습경험의 양보다 질을 개선하여 ... ...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세포가 삐뚤어져요
2014.09.12
우리 몸을 이루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불량품을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크리스토퍼 니키타 미국 듀크대 의대 교수팀은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가 기형 단백질을 만들어 결과적으로 단백질 생산율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셀’ 11일자에 발표했다. 세포가 과열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있다. 마그네슘은 소금물과 반응하면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전기를 만들게 되는데, 이
원리
를 적용해 자동차를 달리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전기차 운전자는 충전소에 들러 배터리가 아니라 차 속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 판’을 갈아 넣고 소금물을 보충하게 된다. 이 방식은 배터리를 통째로 ... ...
수학자 부자(父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
2014.09.04
벨트는 설치된 모든 바퀴의 곡면을 감아 돌면서 움직인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의
원리
를 수학 퍼즐로 만들어, ‘컨베이어 벨트 체’를 만든 수학자 부자(父子)가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의 컴퓨터공학자인 에릭 드메인은 그의 아버지와 함께 계산 기하학을 이용해 컨베이어 벨트 체를 ... ...
암 전이 일어나는 이유 드디어 밝혀져
2014.09.02
제공 엄 연구원은 “이번 결과는 폐암세포뿐 아니라 일반적인 암세포가 전이되는
원리
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암세포 전이를 조절하는 물질을 찾는다면 암 전이를 막는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분자생물학 학술지 ‘엠보 보고서(EMBO Reports)’와 암 생물학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들어갈 빔 진단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빔 진단 시스템의
원리
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연구팀이 그동안 쌓은 기술력을 활용하면 가속기 설비를 국산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ILC는 2028년 완공 예정이다. ... ...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를 사용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28
나정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가 연사로 나선다. 나 박사는 바이오에너지의
원리
및 문제점을 설명하고, 대안으로 각광받는 미세조류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각 분야의 협력 연구 동향을 소개할 예정이다. 본 강연에 앞서 ‘스포이드 잠수함’을 주제로 권순신 충남고등학교 교사가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