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예를 일일이 적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오일러 수가 이용되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예를
소개
하는데, 이 수가 이용되는 경우는 대개 복잡하다.오일러는 수학뿐만 아니라 다방면으로 뛰어난 학자였다. 그가 이렇게 여러 방면에서 뛰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저명한 로마 작가들의 작품을 세심하게 읽고,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대로 링크가 너무 없는 휑한 곳도 없다. 이것을 ‘무작위 네트워크’라고 한다. 위에서
소개
한 인터넷 토폴로지 가운데에는 이런 네트워크가 없다. 다만 메쉬형이 이 형태의 극단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노드 사이를 무작위적으로 빼곡하게 채운 것이 메쉬형 토폴로지다.이와 반대는 ‘척도 없는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선택한 경우가 있다. 추상적인 목표를 좀더 구체적으로 다듬고 일관된 방향으로 자기
소개
서에 정리한다면 입학사정관에게 자신의 꿈과 열정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환경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뭐였니?”“서울이 아닌 지방에 살다 보니까 자연을 좀더 가까이에서 접하고 살았던 것 ... ...
“수학과 글쓰기 중요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시·도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갖고 있다. 그러한 실적이 합격에 유리하게 작용하는지?자기
소개
서에 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기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점수에 전혀 반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합격한 학생들 중에 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에 수상한 학생들이 더러 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상금을 획득한 사람이 우승하고 이 상금을 얻는다.제퍼디에는 다양한 분야의 문제가
소개
된다.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의 문제도 출제됐다. 질문은 “이 나라의 김연아 선수는 2010 밴쿠버올림픽의 프리스케이팅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땄다”였다. 당연히 정답은 “한국”이다. 우리는 다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발표한 ‘계산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에서 제안했다. 그러면서 튜링검사라는 것을
소개
했다.튜링검사는 컴퓨터가 지능을 가졌는지 알아보는 검사다.컴퓨터와 사람이 대화하면 대화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둘의 이야기를 듣고 어느 쪽이 컴퓨터인지 사람인지 맞히는 것이다. 충분한 시간이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경험해보고 감동을 느낀 일화 없이는 2000자를 적을 수 없을 것이다. 학업계획서나 자기
소개
서를 부모님이나 주변에서 도와줘서 작성한 것인지, 지원자 스스로 작성한 것인지가 드러나게 돼 있다. 또 어린시절부터 독서활동이나 체험을 통한 학습에 동기를 부여하고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친한 친구끼리는 식성이나 옷차림, 성격 등 많은 부분이 닮은 이유는 뭘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인 끌림’에 의해 친한 친구가 됐을 가능성이 크다.제임스 포울러 미국 캘리포 ... 주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8일자에
소개
됐다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는 떡’이 탄생했다. 떡이 굳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리의 간식도 달라질 것이다.위에
소개
한 가상 요리들이 올해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만든 떡은 시간이 오래 지나거나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제법 있다. 일부에서 지구공학을 뜨거워지는 지구를 구할 ‘괴짜 아이디어’라고
소개
한 덕분이다. 물론 환경을 염려하는 사람들은 지구공학을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세상에나 거대한 지구를 우리 맘대로 뜯어 고친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린가. 하지만 과학기술이 인간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