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돼야 한다. 우주비행선이 이만한 속도를 내려면 발사할 때 적어도 2단 이상의 복잡한
구조
를 가진 로켓이 필요하다. 이런 우주비행선이 다시 지구에 진입할 때 대기와 마찰을 일으켜 선체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이를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열 방호 장치도 필요하다. 현재 궤도용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벌은 자외선(약 1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인식한다. 또한 곤충은 겹눈이라는 특이한
구조
를 갖고 있어 하나의 영상이 수천 개가 모인 모자이크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벌이 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 영역을 인식하게 됐는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색으로 보이는 꽃잎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건설회사는 달에서 캐낸 자원으로 콘크리트를 만들어 도시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
구조
물은 여러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육각형의 콘크리트다. 기지 내부를 지구와 비슷한 중력환경으로 만드는 것도 현재 미국항공우주국과 함께 검토하고 있다. ➊ 2101년에 생길 우주정착시설로, 스스로 돌며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찾아낸다. 그러면 과학자는 이를 응용해 재료를 적게 쓰면서도 공간은 넓고 튼튼한
구조
물을 만드는 식으로 다양한 곳에 활용한다. 비눗방울은 생활 속 수학을 보여주는 대표주자인 셈이다. 비눗방울은 비눗물이 공기를 감싸고 있는 형태다. 비눗물 없이도 비눗방울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을까?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우박 등이다. 격자를 작게 할수록 해상도가 좋아진다. 격자의 변 길이가 수km면 슈퍼셀의
구조
를 어느 정도 분석할 수 있다. 수십~수백m 정도로 짧아지면 슈퍼셀뿐 아니라 토네이도도 분석할 수 있다.문제는 격자가 작아지면 계산할 양이 많아져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었다. 토네이도가 출현할지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었다. 주술 도구 같은 신비한 원반 사진은 제트엔진 흡입구의 원반
구조
물이다. 이
구조
물은 티타늄으로 만들었다. 골프채나 면도기 날에도 쓰는 친숙한 재료다.사진을 들고 나온 시어도어 그레이(테오도르 그레이) 박사는 미국의 유명한 과학저술가.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직업은 공학용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붙이면 조직세포를 투과하는 약물전달체가 된다. 펩타이드를 나뭇가지처럼 일정한
구조
가 반복되는 고분자 물질로 만들면 약물이 너무 빨리 신장에서 흡수돼 오줌으로 배설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화장품은 이 펩타이드의 항균 성질을 이용해 만든다.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여드름이나 무좀을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드는 직업도 재미있고 멋지다는 것을요. 만약 전시가 된다면 학생들이 비행기 날개
구조
를 상세히 볼 수 있게 천을 뜯어서 전시할 수도 있습니다. 힘들게 만들었지만 아깝지 않아요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화학물 라이브러리에서 혈당을 낮추는 물질도 발견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인슐린과
구조
가 비슷해 몸속에서 마치 인슐린처럼 행동한다. 이 물질을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신약표적 연구실의 또 다른 장점은 생명과학과 함께 영어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지도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다 필요하다. 만일 우반구와 좌반구를 잇는
구조
인 뇌량을 자르면 더 이상 창조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뇌 연구학자인 마이클 코발리스는 “좌반구가 과학이라면 우반구는 자연”이라며 “두 기능이 적절히 합쳐져서 능력을 발휘할 때 최고의 창조력이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