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성장과 함께 나선구조를 발달시켜 간다. 이 나선을 '달팽이 라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다
에 사는 많은 조개류도 나선 모양을 하고 있다. 동물의 뿔에서도 나선패턴을 볼 수 있다. 식물에서는 입과 가시가 줄기 주위를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많다. 솔방울 해바라기 국화꽃 등도 눈에 띄는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훈련을 하면 운동선수의 몸이 그 운동의 요구에 맞게 변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바다
.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어느 정도까지 일어나는가는 덜 알려져 있다.에릭슨 박사는 "심장과 폐의 크기, 관절의 유연성, 뼈의 강도는 모두 훈련시간에 비례하여 늘어난다. 그리고 훈련된 근육에 피를 ... ...
발효식품 탁월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행동의 결과라고 보기도 한다.사시사철이 뚜렷하고 삼면이
바다
로 둘러싸인 구릉지대 한반도에서 5천년의 문화민족이 번성해온 데에는 분명히 놀라운 음식의 지혜가 있었음에 틀림없다. 경작지가 많지 않은 이 작은 한반도에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사람들이 밀집해서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지하수 등의 저장이나 비축에 이용하게 된다(2005).10. 철근 콘크리트 해양구조물의 건설에
바다
모래와 해수를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된다(2002).교통철도의 경우 종래의 바퀴 방식은 실용상 시속 3백㎞ 정도가 한계.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초전도 자기부상 열차의 개발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 ...
컴퓨서브 전문포럼 5백여개 누구나 정보교환 손쉽게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한다. 그동안 국내의 온라인 서비스에 안주해온 사람이라면 한번쯤 눈을 돌려 '더 큰
바다
'를 향하는 것은 어떨까. 본지에 연재될 이 난은 앞으로 정보의 소재를 알리는 역할(know-where)과 함께 효율적으로 정보를 구하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사이버 스페이스(cyber space)란 또 하나의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우우'하는 소리가 들려오면 태풍이나 강한 폭풍우가 밀려올 징조라고 한다. 이것은
바다
위에 열대 저기압이나 태풍이 나타나면 중심 부근에서 발생한 긴 파장의 소리가 전파돼 오기 때문이다.○ 연기가 똑바로 오르면 맑고 옆으로 퍼지면 비가 올 징조다연기가 똑바로 오르면 바람이 없음을 뜻하고 ... ...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수신할 수가 없다. 육지에서는 중계소를 많이 만들어 연달아 중계할 수가 있지만, 넓은
바다
가 가로 놓여 있는 외국에서 일어나는 일을 텔레비전으로 중계한다는 것은 통신위성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불가능한 일이었다.최초의 텔레비전 중계 위성은 1962년 7월 '텔스타 1호'에 의해 이루어졌다. 실용적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이 많이 있기 때문에 지구적인 환경 변화의 모니터링은
바다
복판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따라서 이어도 해양 관측기지에서 지구 환경 변화 연구에 핵심이 되는 여러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장기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야말로 한반도 주변 해역의 ... ...
2. "이동통신 시장 잡아라" 불꽃다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전파를 쏘아 통신이 이뤄지므로 '통화불능지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막이나 밀림,
바다
한가운데, 북극 남극 히말라야 등 오지에서도 휴대용 전화기 하나만 있으면 지구 어디 와도 통화할 수 있다.또 지구 전체가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돼 국내에서 사용하던 이동전화기를 외국에 들고 가서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하게 됐다. 먼 옛날 세계 각지의 고대 문명권 여러 곳에서 싹튼 삼각법은 이제 하나의 큰
바다
로 합류했다. 삼각법은 오늘날 원자력의 이용, 레이더, 우주공학, 컴퓨터 등 현대 과학의 최첨단을 이루는데 기초가 됐다.그 간의 삼각함수 발전 과정을 보면 천문 관측을 위해 발견된 삼각법은 15세기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