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택"(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설치 장소를 제안할 예정이다. ITER 파트너 각국에서 제안한 설치 장소 중의 하나가 선택된 후, ITER의 건설은 2004-5년경에 시작돼 약 10년 후인 2015년경을 전후로 완성된다. 이후 약 10-15년 간 운영기간을 거쳐 상업용 핵융합로 건설에 필요한 제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예정이다. 나아가 현재 가장 ...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수강한다. 즉 맞춤식교육이 이뤄진다는 말이다. 선택과목은 무학년제로 실시된다.이와 함께 학생의 창의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연구활동이 강화된다.‘ 연구활동을 통해 학습한다’는 교육모델을 정립시킨다는 의도다. 학생은 지도교사뿐 아니라 ...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훼손하거나 사회에 큰 피해를 입히지 않는 한 인간복제는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문제다.불임부부의 경우 복제한 자녀에 대해 부부가 공동으로 양육책임을 지기로 합의하고 아기를 가질 경우에 가족관계에 아무런 혼란도 야기하지 않는다. 더욱이 그 가정의 행복을 증진시킬 ...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크기와 모양에 따라 도체 또는 반도체가 되는데, 현재의 제조방법으로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만들어내지 못한다. 최원봉 박사는 “앞으로 우리 연구팀은 산화알루미늄 기판의 구멍 크기를 통해 반도체만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이조원 박사는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손꼽힌다. 가능한 모든 경우의 경로를 다 계산한 다음 최소거리를 여행하는 경로를 선택해야 하는데, 주어진 경로가 많아질수록 계산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고성능 컴퓨터와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사용한다고 해도 계산에 필요한 시간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분자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다형단백질’이 있다. 여러 종류의 다형단백질을 잘 선택해 각 개들이 어떤 다형단백질을 갖는지 조사한 후 통계처리를 해보면 개 품종간의 혈연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한국에서 필자와 함께 연구했던 일본 다나베 교수는 아시아 토종개 30여품종을 포함한 50여품종 ...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보통 인간과 다르다. 그들은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기존의 다른 독립된 개체의 선택이나 욕구에 의해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또 자연스럽지 못한 인위적 세포조작이 가해진 인공적인 생명체이며 유전적으로도 정체해 있고 불완전하다. 이 때문에 독립된 인간으로써 인정받기 어려워 차별될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1980년대 미 국립암연구소의 로젠버그 박사에 의해 처음 시도됐다. 그는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침투하는 림프세포(TIL)에 암괴사인자의 유전자를 삽입시켰다. 암괴사인자는 인체 내의 면역세포인 T세포 등을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직접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암괴사인자의 뛰어난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있을 것이다.철학에서 우주론까지 바꿔이 모든 점을 제외하고 필자에게 베스트3을 선택하라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이 뽑겠다. 1위는 1921년 수상자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2위는 1922년 수상자 닐스 보어(Niels Bohr, 1885-1962), 3위는 1932년 수상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비경제적이기도 하다. 실로 바람직한 방법은 두 광학이성질체 중 원하는 쪽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일이며, 이런 방법을 ‘비대칭 합성’이라 한다. 2001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인, 놀스, 노요리, 그리고 샤플리스 박사들은 이러한 비대칭 합성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공로를 인정받아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