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번엔 학술지 ‘조합적 이론 시리즈 B’의 게재 승인까지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수학자의 검증 과정을 거쳤으니 문제가 풀렸다고 볼 수 있겠지요? 이 논문은 앞서 소개한 것과 다르게 컴퓨터를 전혀 쓰지 않았습니다. 다만 훨씬 더 복잡하지요. 제가 보기에도 어려우니 검증하기가 만만하지 ... ...
- [DJ CHO의 롤링수톤] U2의 ‘Sunday, Bloody Sunday’ 집게발 무대의 정체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무대를 제작해 공연하는 것이지요. 한번은 무대에 스크린을 여러 대 설치했다가 또 다른 공연에서는 무대 바닥에 조명을 깔아 버립니다. 그래서 U2의 투어 공연 소식이 들리면, 어떤 무대를 보여줄지 지켜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입니다. 그리고 2009년, 공연계에 두고두고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비가역적이고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어릴 때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최선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밤에 끼고 있으면 낮 동안 근시 교정 효과를 내는 각막굴절용 교정렌즈, 일명 ‘드림렌즈’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각막굴절용 교정렌즈는 각막의 중심부를 납작하게 누르도록 평평한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재영 군(대전 과학고 2학년)은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 중에 어떤 것을 전공해야 할지 고민 중이었는데, 멘토링을 받고 나니 해양 물리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며 “꼭 나한나 박사님과 함께 일하고 싶다”며 포부를 밝혔다. 박소원 씨(부산대 2학년)는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 미래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등이다. 크리스천 교수는 그간 여러 인터뷰와 글에서 “민족, 국가,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은, 보편적인 인류사를 썼다”고 밝혔다. 그러나 빅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세부 내용을 실제로 보고 나면, 서구 시각에 편향돼 있다는 느낌을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모이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거예요.현재 미국과 프랑스, 영국,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들은 미세 플라스틱 사용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어요. 최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나섰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7월부터 화장품을 만들 때 미세 플라스틱을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않았고, 실제로 실험을성공시켰답니다! 인공 혈관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거죠.여러분도 다소 엉뚱해 보이는 아이디어라도 버리지 말고 끝까지 연구해 보세요! 더욱 많은 가능성을 펼칠 수 있을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심장이 뚝딱! 시금치의 변신Part 1. 채소왕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최근 발사한 화성-12형에서 탄도미사일용 후추진체(PBV)가 발견됐다는 점이다. PBV는 여러 개의 탄두가 있을 때 각 탄두가 원하는 지점에 떨어질 수 있도록 정밀 유도하는 추진체다. 다탄두 미사일에서는 필수 요소다. 화성-12형이 공개된 2017년 4월 15일 태양절 열병식과 5월 14일 공개된 사진을 보면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학계에서는 고기와 젖, 채소 등을 오랫동안 끓이거나 발효 시키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여러 가지 아미노산이 생겨나 풍미가 깊어진다고 설명해왔다. 그런데 연구팀은 펩티드 중에서도 글루타티온과 글루타밀-바릴-글리신(glutamylvalyl-glycine)은 칼슘맛 수용체 분자인 CaSR과 결합한다는 사실을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간을 들여 아주 천천히 제 정신의 일부분씩만을 전송하는 해법이었습니다. 뇌 기능을 여러 개로 구분해서 그 일부분만을 새 두뇌에 복제해 원래 있던 두뇌와 새 두뇌가 함께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기간을 거친 다음, 적응이 완전히 이루어졌다 싶은 시점에 기존 두뇌에서 그 기능을 담당하던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