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지구 주위를 여행하는 우주선과 지상에 정확한 시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측정
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정확한 시계가 필요한데, 원자분수시계는 GPS에 장착된 시계보다 약 1백배 더 우수하다.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저속 원자빔 시계, 세슘원자분수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비타민 D의 과잉생성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재블론스키 박사는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측정
한 자외선 지도, 즉 지구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표시한 도표를 바탕으로 적정 수준의 엽산과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는 피부색을 예측한 지도를 작성했다. 그리고 이 지도를 실제 세계 각 지역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더해야 현재의 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
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사기 8권에는 ‘신라 성덕왕 17년(718년) 여름, 6월에 비로소 누각을 만들었다’라고 적혀 있다. 이는 우리나라 역사에 나타난 물시계 제작의 첫 기록이다. 또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잡으려고 포착 위치를 예측해 달려갈 때 작동한다. 즉 초단위의 짧은 기간의 시간 경과를
측정
하는데 유용할 뿐이다. 간격이 길어질수록 정확성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간격 타이머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시간의식 전반을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시간 심리학을 연구하는 영국 ... ...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해가 가는 것은 로빈슨 크루소의 경험에서 보듯이 어지간히 신경을 쓰지 않으면 정확히
측정
하기 어려웠다. 물론 고대 농부들도 계절의 순환은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러나 1년이라는 짧지 않은 기간을 넷(4계절)이나 둘(우기/건기)로 나누는 정도로는, 갈수록 복잡·정교해지는 사회 시스템을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를 토대로 커서를 움직이는 원리다. 인공위성, 유도 미사일에 쓰이는 자이로센서 관성
측정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이다. 손목의 움직임만으로도 커서를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다. www.sico.co.kr항암제 연구 활용한 화장품이자녹스 태트(TAT)화장품은 침투성이 뛰어난 나선형 입체구조의 태트라는 물질이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붙였다. 참가자들이 양손과 양발을 움직이는 동안 센서가 감지하는 뇌파의 변화를
측정
했다.그 결과 여러 종류의 뇌파 중 12-35Hz의 주파수를 갖는 베타파와 8-12Hz의 주파수를 갖는 뮤파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다. 동작을 계획할 때와 실행할 때 이들 뇌파가 발생하는 패턴은 같았다. 황 교수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