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GABA가 적을수록 우울하고 축 처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맥 마스터대의 피터 맥린
박사
의 연구팀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염을 앓고 있는 쥐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이라는 미생물이 섞인 먹이를 먹였더니 불안증세와 우울증이 호전됐다.그렇다면 유산균은 어떤 경로로 쥐의 뇌에 ... ...
기관총 명사수 '막쏘니 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금부터 제150회 게틀링배 세계 기관총 사격 대회를 시작하겠습니다. 빰바빠빠빠, 빠~바. 빠라바 빠라바 빠라바 빠 빠~바.”미국의 발명가 리처드 게틀링은 1862년에 기관총을 발명했다. 자신의 이름을 따서 ‘게틀링건’이라고 불렀다. 게틀링의 발명을 기리기 위해서 세계 기관총대회가 열렸다.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오리가미에 담겨 있는 수학과 과학, 예술의 세계를 연구하고 있는 로버트 제이 랭
박사
입니다. 이렇게 한국에 있는 ‘수학과 오리가미를 사랑하는 친구들’을 만나게 돼 영광입니다.저는 6살 때 처음 오리가미를 운명적으로 만났습니다. 그 뒤로 오리가미와 사랑에 빠져 평생을 함께하고 있고요. ... ...
달콤함이 가득, 달달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단 걸 많이 먹으면 정말 살이 찌는 걸까? 그런데 때마침 왕커 아저씨의 휴대전화로 섭섭
박사
님의 초콜릿톡 메시지가 도착했어. 띠리링~♪ “왕커
박사
! 단걸 많이 먹는 당신은 말랐고, 단 걸 적게 먹는 나는 왜 살이 찐 거지?” ● 신비한 단맛의 세계로 풍덩~!단 걸 많이 먹으면 건강에 나쁘다고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뤄진 오페라는 1만 6000개의 중성미자가 검출됐다.이카루스의 대변인인 카를로 루비아
박사
(토륨원전 ‘에너지증폭기’의 제안자. 과학동아 2012년 2월호 참조)는 ”액체아르곤을 이용한 신형 검출장비를 이용해 오류 가능성이 적다”며 “중요한 교차 검증을 수행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란사소와 ... ...
배신자 효소 파괴하는 저격수 효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암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건국대 미생물공학과 안성관 교수와 배승희
박사
연구팀은 세포 내에 있는 효소 ‘뮬란’이 암을 유발하고 활성화시키는 배신자 효소인 ‘Akt’를 분해해 암세포 전이와 성장을 억제한다고 ‘세포연구(Cell Research)’ 지에 발표했다.Akt는 세포가 정상적인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뱀에 물린 사람은 죽어도 피가 응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레이드
박사
는 이를 이용해 살모사로부터 항응고제인 알빈을 정제해 혈전으로 정맥이 막혔을 때 쓰는 혈전증 치료제를 만들었다. 우리 몸은 상처가 나면 상처부위에 혈소판이 붙고 섬유소원(피브리노겐)이 트롬빈의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빠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분야가 게노믹스다. 미국의 바이오기업 일루미나의 스콧 칸
박사
는 2011년 2월 ‘사이언스’ 기고문에서 “2007년에 이미 하루에 읽을 수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 데이터량이 컴퓨터의 처리 속도는 물론 하드디스크의 저장 능력을 넘어섰다”고 밝히고 있다. 김태형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프랑스 브루노 버지(Bruno Berge)
박사
에 의해 발견됐다. 그는 금속판을 얇은 절연체로 씌운 뒤 그 위에 물을 한 방울 떨어뜨렸다. 다음에 금속판과 물방울에 전기를 걸자 전압이 높아질수록 물방울이 얇게 퍼졌다. 이 방법을 쓰자 수십 V의 높은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는 학문으로 여겨진다. 내가 조금 쉬려고 그 인식을 이용한 것이다.이런 일도 있었다.
박사
학위를 마친 뒤 내 첫 직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연구소였다. 다급히 집을 알아보기 위해 부동산 중개인과 여러 군데 방문하는 중에 중개인이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를 물었다. 워낙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