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가만히 있어요. 연구팀은 현미경을 통해 눈알 모양의 깃털에 작은 갈퀴들이 있는 것을
발견
했어요. 갈퀴들이 서로 붙들고 있는 덕분에 주변 깃털이 흔들려도 눈알 모양 깃털은 가만히 있을 수 있답니다.일리 : 나와 함께 공작을 닮은 옷을 만들지 않을래?공작 : 아직도 공작은 관심의 대상이에요.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바람을 넣으면 축구공이 되는 것이다.축구공에서 정다면체와 준정다면체의 모습을 모두
발견
할 수 있다. 지금부터 간단하게 종이를 이용해 축구공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자 ... ...
[과학뉴스] 신장암 환자는 뚱뚱하면 더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분석했다. 그 결과 비만 환자의 경우 지방산합성효소(FASN)의 활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
했다. 이 효소는 지방산을 합성해 세포막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 효소의 활성이 떨어지면 암이 발생하거나 전이하는 현상도 느려진다.초우에리 박사는 “이번 연구로 신장암을 치료할 수 ... ...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포식자들 때문에 도마뱀이 물가에 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화석을
발견
한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도 당시 호숫가였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백악기연구’ 8월 26일자 온라인호에 실렸다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가지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랜트를 조금 받긴 했지만, 중성미자 진동변환을
발견
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었습니다. 정부에서 슈퍼카미오칸데를 중요한 과학실험장치로 선정하고 건설 예산을 지원해 준 것이 중요했습니다. 슈퍼카미오칸데가 없었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을 겁니다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프랜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이 이 연구소의 초기 멤버다. DNA 이중나선 구조도 이곳에서
발견
했다. 인슐린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밝히고 DNA 해독 기법을 연구해 노벨화학상을 두 번이나 탄 프레데릭 생어 역시 이곳에서 연구를 했다. 지금까지 총 14명의 연구자가 이곳에서의 연구로 노벨상을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아시아인 최초로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등반한 엄홍길 정도가 예외다. 아메리카대륙을
발견
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북극과 남극 항로를 각각 개척한 로버트 피어리와 로알 아문센 등 걸출한 모험가를 수없이 배출한 서구와는 다르다.그래서 과학탐험가라는 직책을 어깨에 얹고 전세계 지질학적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지난해 봄에 국립수목원의 박사님들이 전남 여수시의 섬 지역에서 자라는 섬진달래를
발견
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섬진달래와 비슷한 시기에 꽃을 피우는 참꽃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진달래류예요. 아름다운 꽃 모양과 화려한 색상으로 ... ...
[Editor’s note]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됩니다. 그 과학자는 헬멧을 쓰고 죽어가는 과정을 그대로 기록합니다. 나중에 이를
발견
한 다른 과학자가 헬멧을 쓰자 거기에는…. 혹시라도 이 오래된 영화를 찾아 볼 독자가 있을지도 모르니까 여기까지만 말하겠습니다.아직 이 영화에서 묘사하는 기술이 실현되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이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미국의 수학자 존 셀프리지와 영국의 수학자 존 콘웨이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발견
한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셀프리지-콘웨이 방법’이라고 부르는데, 케이크를 최대 6조각으로 나누고 칼질은 최대 5번 하게 됩니다(아래 그림 참고).이렇게 케이크를 나눠 먹으면 모든 사람이 남이 가져간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