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과학동아 l1996년 04호
- 1888년 코닥사가 코닥카메라 1호를 만들면서부터다. 코닥카메라는 휴대하고 간편하고 1백장의 롤필름이 들어 있어서 다양하게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상은 코닥사에서 해주었다. 롤필름이 발명되고 카메라의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사진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다 ...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과학동아 l1996년 04호
- 것이 있다. 현재 이 주기율표에는 화학원소의 특성에따라 수소부터 로렌슘까지 1백3개의 원소가 배열돼 있다. 그러나 세상에 알려진 원소는 최근에 발견된 원소를 합해 총1백12개가 된다. 1백4번 원소부터 9개의 원소가 아직 주기율표에 올라와 있지 않은 이유는 이름과 화학기호(예로 산소는 이름이고 ...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앓고 있다" 고 공개했다. 또한 유엔은 95년 11월 28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에서 최소한 9백만명이 체르노빌 사고의 영향을 받았고, 사고처리를 담당한 80만명의 노동자와 군인들은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고 밝혔다.특히 "벨로루시에서는 갑상선암 발생이 체르노빌 ...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올라간다. 그러므로 망간단괴가 분포하고 있는 수심 5천-6천m까지 내려가려면 최소한 5-6백기압을 견뎌내야한다. 이것은 엄지손가락만한 면적에 10명의 사람이 올라선 정도의 압력이다.1만m 이상을 탐사하는 무인탐사로봇(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이나 자율형 무인탐사로봇(AUV, Autonomous Underwater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존재에 불과했다. 자동차를 조심스럽게 몰다 멈추는 일을 여러차례. 그러나 2백m 근방에 이르렀을 때 황새는 모두 날아갔다. 조교수는 "2월 중순까지 이곳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곳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 ...
- 국내 방사광가속기 24억 전자볼트 성공과학동아 l1996년 03호
- 1개 전자가 1V 전위차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보다 높은 24억eV를 얻는데 성공했다. 길이 1백50m의 선형가속기에서 전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저장링에 넣으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가 회전하면서 접선 방향으로 강한 방사광(synchrotron radiation)을 만든다.이 방사광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과학동아 l1996년 03호
- 1980년대 중반 그래슬박사와 N. J. 맥치올렉박사, J. A. 블레이크, B. 힐비크박사 등은 수백 만달러의 예산으로 중무장했다. 그리고 델라웨어 뉴저지 뉴잉글랜드 그리고 남북 캐롤라이나 인근의 바닷속에 상자 시료채취기를 던져 넣었다. 그래서 수심 3.5km에 이르는 여러 장소에서 5백56개의 표본을 ...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3호
-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외계행성을 찾는 작업은 1천억W의 서치라이트 옆에 있는 1백W 전구를 구별하는 것만큼 어렵다. 행성은 그만큼 어둡다. 그래서 외계행성의 발견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외계행성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을까.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면 별은 공통질량 중심을 ... ...
- 멸종위기 생물 위해 엄청난 돈 들어과학동아 l1996년 03호
- 따르면 미국내에 있는 동식물 3분의 1 이상이 멸종위기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 2만4백81종 중에 2백67종(1.3%)이 기록속에만 살아남아 있는 처지가 됐고, 3천1백70종(15.4%)의 종이 멸종의 단계에 들어섰다. 보존협회의 '정의'에 따르면 멸종단계란 동물의 경우 3천마리 정도가 남아 있거나 20군데 ..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과학동아 l1996년 03호
- 발가락 뿌리부와 일치하게 된다. 길이도 중요하지만 너비에도 관심을만약 발길이가 2백40mm인 사각형 발을 가진 사람이 2백60mm의 신발을 신는다면, 걸을 때 신발이 구부러지는 부위에 엄지발가락 뿌리부가 아닌 엄지발가락이 놓이게 될 것이다.결국 체중이 뿌리쪽에 실리지 않고 엄지발가락에 실려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