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원소라 불리는 1백14번 원소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고 곧 희소식이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빅뱅 이후 소립자가 만들어지고 원소가 만들어진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에서는 우주에 존재할 수 있는 원소가 1백14개라는 계산이 나온다. 그래서 1백14번을 마법의 원소(magic element)라고 한다.현재 ... ...
남북으로 뚤린 오존 구멍 계속 확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오존층 구멍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 잇따라 보고되고 있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남극 상공의 오존층 구멍은 유럽 대륙 2배 크기인 2천만 ... 독일 러시아 등의 상공지역까지 퍼질 수 있어, 이들 지역들은 자외선으로부터 큰 피해가
예상
된다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점차 발달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리 크지 않다. 꼬리는 약 5도 정도의 길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
된다.햐쿠다케혜성의 꼬리를 보려면 4월 중순이 유리하다. 이때 혜성은 태양에 점점 근접하므로 핵부분의 활동이 눈에 띄게 활발해진다. 점차 10도 이상으로 꼬리가 길어져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2월 5일 공식 발표했다. 이 새로운 툴은 웹 개발자들에게 대단한 환영을 받을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애플 IBM 노벨 실리콘그래픽스 휴렛팩커드 아메리카온라인 등 28개의 유수 컴퓨터 업체들이 자바를 라이센스하고 향후 그들의 제품에 적용시키기로 공식 발표했다. 여기에는 앞서 언급한 ... ...
콜레라 전염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과학자들은 앞으로 몇해 동안 해안 지역에서 플랑크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
했다. 각종 오물로 인한 해양오염과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그렇다면 콜레라 발생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인공위성을 이용해 조류 생태를 감시, 콜레라 발생을 예측하자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조류 색깔을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3월 말 히야쿠타케혜성이 지나가는 별자리는 작은곰자리.그러나 혜성의 밝기는
예상
과 달리 변화가 많다. 그러므로 히야쿠타케혜성이 실제 얼마나 밝을지는 두고봐야 한다. 현재 천문대에서는 소백산천문대 61cm 망원경과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 등을 이용해 이 혜성을 계속 추적하고 있다.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경로 계면특성 수율 가격 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실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된다.생체 계면활성제는 천연 화합물이어서 환경 친화적이므로, 계면활성제가 산업에 두루 쓰이는 것을 고려하면 생체 계면활성제의 개발은 산업 전반에 걸쳐서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일본에서는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전받는 심해저환경_예기치 못한 생태계 변화
예상
해야개발과 환경보존은 동전의 앞뒤면처럼 함께 생각해야 한다. 심해저 개발도 예외일 수 없이 환경보존이라는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한다. 드넓은 태평양 해저면에 깔려 있는 광물을 채취할 경우 많은 흙탕물이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지금은 그때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길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4인승차만 황새 출몰이
예상
되는 곳으로 출발했다. 버스는 소음이 컸기 때문이었다.행운은 빨리 찾아왔다. 11시 30분 1km 전방에 황새가 발견됐다. 모두 4마리였다. 양쪽에 함께 있던 왜가리와 백로는 황새의 우아함을 돋보이게 하는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미뤄볼 때 심해저에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휠씬 큰 해양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
된다. 풍부한 먹이사슬의 정점에서 다른 동물을 먹이로 삼는 크라켄(노르웨이 근처의 바다에 산다는 전설 속의 괴물)이 있을지도 모른다. 또 성경에 나오는 거대한 해수(海獸)나 알려지지 않은 괴물이 있을지도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