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 마술 ·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현재도 전세계적으로 자주 소개되는 다양한 의사과학 소재다.과학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
하기 위해 노력한 저자 강건일 박사는 이들 소재에 대해 의사 과학자들의 주장을 따라가며 그들의 주장이 왜 과학으로 포장될 수 없는지를 설명한다.또한 왜 의사과학이라고 부를 수밖에 없는지,진짜와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상판 사이에는 충격
전달
장치(LUD, lock up device)가 연결돼 다리의 안전성을 돕는다. 충격
전달
장치는 온도에 따른 상판의 신축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장치이다. 그러나 지진과 같이 빠른 하중이 작용할 때는 자동으로 잠김작용을 해 양쪽의 주탑으로 힘을 분산시켜 준다.스스로 진단하는 시스템기술적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모르는 바이러스라면, 백신프로그램도 믿기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메일로
전달
되는 바이러스는 확장자가 특이한 경우이거나 exe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런 경우만 주의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문서, 그래픽 같은 데이터 파일은 바이러스에 거의 걸리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하면 된다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생물체의 생명활동에는 세포내 신호
전달
이라는 메커니즘이 중요한데 이러한 신호
전달
을 담당하는 유전자로 동물은 두가지 타입의 유전자군을 가지고 있다. 흥미롭게도 식물에서는 한가지 타입의 유전자군만 발견된다. 이는 동물과 식물의 공통 조상이 한가지 타입의 유전자만을 가지고 있었음을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소뇌의 빠른운동프로그램이 대뇌피질을 거치지 않고 바로 뇌간의 턱운동 리듬 발생기로
전달
되는 비율이 높아진다. 물론 대뇌피질로 얼마간의 정보가 가기는 하지만.따라서 규칙적이던 턱운동이 불규칙해지면서 침을 심키는 횟수도 줄어든다. 또 껌을 씹는 빠른운동프로그램과 느린운동프로그램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팽창우주론’의 이론적 배경을 그대로 채택한 것이다. 실로 이 작품은 과학적 교양의
전달
에도 의미를 두는 SF의 계몽적 성격에 적절히 부합하는 셈이다.원래 1967년에 단편으로 SF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타우 제로는 1970년에 단행본 장편소설로 출간된 뒤 최고의 SF에 수여되는 휴고상 장편 부문에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
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용되는 프로작 등의 약품은 모두 이들 덕분이다. 앞으로 뇌기능을 조절하는 신경
전달
물질의 실체가 완전히 밝혀진다면 치매를 비롯한 각종 뇌질환을 정복하는 일도 가능하다.1909년 뇌의 구조를 신경세포 수준에서 명확하게 보여준 라몬 카할과 카밀로 골지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래 여러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특히 수분을 진동시켜 마찰열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한편 공간을 통해
전달
되는 무선전신의 발명은 지구의 구석구석을 순간적으로 연결하는 지구촌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뿐만 아니라 라디오, 텔레비전을 비롯한 매스컴의 출현을 가져왔고 20세기 후반의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꼽히는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기준은 ‘체험자들이 그 일을 얼마나 실제처럼 느꼈는가’와 ‘그것이 자신에게 제대로
전달
됐는가’ 하는 사실 뿐이다.구체적인 단서 못찾아 이 문제에 대해 칼 세이건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토마스 쿤의 정의대로라면 칼 세이건은 오늘날 서구 과학 패러다임을 지키는 대표적인 과학자다.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왓슨-크릭의 구조에서라야 생명의 핵심 정보인 염기서열이 보전돼 자손에게 제대로
전달
될 수 있다. 또한 한쪽 나선의 염기에 오류가 생겨도 상대방 나선에 들어있는 짝염기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되찾을 수도 있다. 이 이중나선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로 수소결합이다.수소결합은 눈송이에서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