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선택해본다. 12가지 별자리가 나타날 것이다. 구중 염소자리를 눌러보자.화면 4-4. 밤
하늘
에 여러 개의 별이 반짝인다.화면 4-5. 깜빡이는 순서대로 마우스를 누르면 별들이 선으로 연결된다. 화면 4-6. 별들을 선으로 완성시키면 염소가 나타난다. 아~이게 염소자리구나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춥다. 사진은 석양에 세종기지에서 바라본 위버반도.2 백시현상눈 덮인 설원을 보거나
하늘
에 고르게 낀 구름을 볼 때 인간은 의식을 잃는다. 이러한 현상을 백시현상(whiteout)이라고 하는데, 남극에서는 이런 현상이 잘 일어난다. 비행기나 헬리콥터가 빙원에 충돌하고 심지어 새들이 설면에 부딪치는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전장 7백60m에 이르는 제1 회랑 벽의 부조나 제2 회랑 내부의 화려한 십자형 기둥, 탑 등은
하늘
의 요정 아프살라와 부채처럼 머리를 치켜든 여러 마리의 뱀을 새긴 부조와 함께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크메르인만의 것이다. 앙코르 왕조는 13세기말부터 쇠망하기 시작해 15세기에는 밀림 속에 ... ...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구토가 나오더군요. 꿈속에서도 그 힘들었던 경험이 되살아나곤 했습니다. 수송기는
하늘
로 오르다 해발 6천m에서 엔진을 끕니다. 이때부터 수송기는 관성으로 해발 9천m에 이르렀다가 다시 6천m로 떨어질 때까지 약 25초동안 무중력상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2g의 강력한 중력가속도를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1백인승급 중형 항공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1999년에는 우리가 만든 중형 항공기가
하늘
을 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항공우주연구소는 복합재 쌍발기 개발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37억원을 들여 순수 국내기술로 만든 8인승 쌍발 복합재료 항공기의 시제품이 내년 2월말에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한순간 일제히 움솟는 짧은 봄, 따가운 여름 햇살, 금방이라도 금이 갈 듯 한 청명한 가을
하늘
, 그리고 살을 에는 듯 한 겨울 추위 등이 나타나는 우리나라 자연 환경은 숲과 그늘, 그리고 다양성을 잉태한다. 결국 우리의 자연은 잔디밭 문화가 아닌 숲의 문화를 창출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베르톨트 브레트의 '갈릴레이의 일생' 가운데서)12월 초저녁, 날이 채 어두워지기 전 동쪽
하늘
을 보면 별들이 촘촘히 모인 작은 무더기를 찾을 수 있다. 서양에서는 이 별무리를 '플레이아데스' (Pleiades), 또는 '일곱 자매'(seven sisters)라고 불렀다. 우리 조상들은 '좀생이별'이라는 애칭을 붙였다.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성간물질을 휩쓸고 지나갔다. 현재는 많이 끊겨 '부숴진' 모습으로 남아있다. 이것은
하늘
에서 3도만큼 퍼져있는데 UIT로 촬영한(사진4)에는 전체의 6분의 1만 나타나 있다.독거미성운 내의 거대 성단대마젤란은하는 맨눈으로 보면 단지 뿌연 구름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망원경에 카메라를 ... ...
호주산 붉은등거미 자손 위해 온몸 던져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2년이나 산다. 숫거미가 먹히는 것을 피할 수 있더라도 다른 암거미를 다시 만나기란
하늘
의 별따기. 그래서 숫거미는 자기의 자식을 얻기위해 한번 잡은 기회에 온몸을 바치는 것이다 ... ...
남극 인터넷과 연결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된다.특히 천문학자들이 득을 많이 보게될 것이다. 빛과 전파의 방해를 받지 않는 남극은
하늘
을 관측하기에 아주 이상적인 곳이다. 또한 많은 천문학적 관측물들이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측 가능하다.국립과학재단(NSF)은 이 프로젝트에 GOES-3라는 기상위성을 이용할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