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5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부가 바뀌었다? 청혼했더니 50kg 감량해
2016.10.20
운동과 식이요법 끝에 50kg을 감량하게 된다. 그녀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었다. 사진
아래
와 위의 신부가 동일 인물이라고 믿기 어렵다. 부부는 뉴질랜드로 신혼 여행을 갈 계획이라고 한다. 헤일리는 1년 전만 해도 빙산 구경이나 등산 그리고 스노클링 등은 꿈도 꿀 수 없었던 신부가 운동을 즐기는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구글이 ‘팩트’를 검증하는 방법
2016.10.19
활성화된다. 구글 뉴스 캡처
아래
방향 화살표 두 개로 구성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
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이 그림은 2016년 10월 16일 오후 1시 구글 뉴스 사이트에 접속해 “한·중 어업지도단속공무원 교차승선…中 요청 잠정 중단” 관련한 기사의 실시간 관련 기사 버튼을 누른 후 나타난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숲(목본). 빨간색은 농경지다.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C4 식물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아래
는 C3 식물과 C4 식물이 선호하는 환경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오늘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인 400ppm의 경우 30도가 넘으면 C4 식물이 20도 밑에서는 C3 식물이 확실히 유리함을 알 수 있다. - 사이언스 제공 ... ...
30년 지나도, 늙지 않은 62살 모델
2016.10.13
세일러 리이고 18살이다. 얼굴을 보면 모녀의 나이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한편
아래
사진은 더 놀랍다. 1985년 촬영된 브링클리의 모습이다. 30년 전이다. 현재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기적적인 방부제 외모라고 해도 될 것 같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지긋지긋한 다크서클과 이제 이별 할 때!
2016.10.11
다른 곳도 영향을 받게 된다. 비염으로 비강 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눈꺼풀
아래
혈류가 정체되면서 혈액 내 헤모시데린이라는 색소가 피부에 침착된다. 이 때문에 검붉은 다크서클이 생길 수 있을 뿐더러 눈 밑 부위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지방까지 축적된다. 상단에 설명했던 기능적 ... ...
아파트 10층에 붙어 있는 남자
2016.10.11
있다. 속옷은 입은 것으로 보이는 남자다. 그는 에어컨 실외기에 붙어 있다. 까딱하면 저
아래
로 추락할 수도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이다. 저 남자는 보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서게 만들면서 뭘 하고 있는 것일까. 여러 가지 추정이 있지만, ‘금지된 사랑을 추구하던 남자가 급히 몸을 숨겨야 할 ... ...
칭기스칸이 원래 서양인이었다고?
2016.10.11
조상일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5체의 유골 중 특히 몽골 여왕은 다른 유골을 발
아래
쪽에 두고 있는 점 등으로 미뤄, 이들의 ‘어머니’격 인물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로 추정한 결과 몽골 여왕의 키는 165.6㎝, 몸무게 78.1㎏ 정도로 당시 몽골 ... ...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
2016.10.09
머리에 가해지는 힘은 예상대로 다이빙 속도가 빨라질수록 커졌다. 이때 머리와 목이 위
아래
로 눌려 압축돼 휘는 ‘좌굴’ 현상도 나타났다. 하지만 머리의 구조와 목의 소재 특성, 수면에 부딪힐 때의 순간속도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는 좌굴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다이빙할 수 있는 것으로 ... ...
침팬지도 사람 같은 ‘공감능력’ 있다
2016.10.09
침팬지가 영상을 보고 있다.(왼쪽 상단) 영상 속에선 킹콩 분장을 한 연구원이 돌을 박스
아래
에 숨기고 있다. 침팬지는 킹콩이 돌을 숨기는 박스를 보고 있다(빨간점) - 사이언스 제공 침팬지도 사람처럼 다른 이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공감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미국 ... ...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는’ 주사바늘 나왔다
2016.10.07
찌른 뒤 피가 맺히는 일반 주사(위)와 출혈이 거의 없는 연구 결과(
아래
)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피부에 찔러도 피가 나지 않는 ‘무출혈’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매일 주사를 맞아야 하는 당뇨병 환자, 지혈이 어려운 혈우병 환자 등에게 큰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