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아니라 워털루 기차역으로 향하곤 했다. 대기실 의자에서 여행객들 사이에 앉아
계속
책을 읽거나 수식 모델을 세웠다…. 대기실이나 도서관에서 내가 먼저 남들에게 말을 건 적은 한 번도 없지만 (…) 어쨌든 주변에 사람이 있으면 외로움이 다소 덜어지는 것 같았다(해밀턴, 1996년, 23~24쪽)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단독 은밀 음주’ 형태로 알코올중독이 시작됐다. 이런 습관은 중독 중기단계까지
계속
되다가 말기에 이르러서 주변의 가족들에게 발견됐다. 혼밥혼술 문화는 한국이나 일본같이 유교주의와 집단주의 문화가 강한 사회에서 더 문제시되고 있다. 개인 간 유대가 끊어진 증거라는 주장 때문이다.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상상이 되지 않았다. ‘몸속에 종이를 넣으면 녹지 않을까?’ ‘종이가 기관의 모양을
계속
유지할 만큼의 힘이 있을까?’ 궁금증을 가득 안고 황 교수를 만났다. 『공학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창의적이고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다양한 학문을 배우는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같은 크고 작은 알이 가득했어. 그 사이를 어찌나 빠르게 뛰어가는지! 저렇게 큰 알이
계속
뛰면 노른자가 출렁거리지 않을까?뭐? 자기는 끈으로 단단히 붙잡고 있어서 괜찮다고? 그건 또 무슨 소리야?알은 세상에서 가장 큰 세포!달걀을 포함한 모든 동물의 알은 그 동물의 새끼를 키워내는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심지어 이4000년 전의 숫자 체계는 지금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결과가 나왔지만, 그 연구가 제 인생에서 가장 좋은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연구를
계속
하다 보면 더 발전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젊은 시절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풀 수 있는 문제는 거의 다 풀렸다는 의견도 있더군요.수학 문제가 많이 풀린 건 사실이에요. 특히 오랫동안 안 풀리던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후, 출구가 뚫려 있는 행성이 단과 가우스가 있는 세레스로 다가오기 시작했다. 행성은
계속
다가오다가 세레스와 크게 충돌하더니 단은 순식간에 출구로 빨려 들어갔다.일곱 개의 다리가 있는 도시눈 깜빡할 사이에 단은 다른 곳으로 이동해 있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한적하고 평화로운 도시였다.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맥주효모균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Part 3. 아슬아슬하고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만드는 전분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한천은 금방 굳기 때문에 고온으로 가열하며
계속
저어줘야 한다. 때문에 한 번 밥을 만들기 시작하면 자리를 비울 수 없다.한천과 옥수수 가루가 완전히 녹으면, 단맛을 내는 시럽을 추가한다. 노란 색을 띠던 초파리 밥에 시럽이 들어가자 예쁜 캐러멜 색으로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