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역사와 함께 반복되는 바이러스 공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종두’라는 백신을 이용한 예방방법을 보급하면서부터 급격히 몰락했다. 1977년을
마지막
으로 더이상 환자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는 1980년 “지구상에서 천연두가 완벽히 사라졌다”고 공식 선언했다.천연두는 사실 인간이 바이러스를 물리친 거의 유일한 예다. 인류 역사 동안 ... ...
1 수소 원자핵을 빛의 속도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이러한 가속기는 실제 제작되지 않았지만, 언젠가 이 꿈이 실현되면 아마 지구상의
마지막
가속기가 될 것이다.같은 전기를 띤 양성자들이 같은 길을 갈 때는 서로 밀치는 쿨롱 힘이 생겨 가속되는 양성자들끼리 서로 멀어지려고 한다. 따라서 많은 양성자를 동시에 가속하는 것은 에너지를 올리는 ... ...
지구 수호자에서 이웃집 청년까지, 슈퍼영웅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구할 수 있을까 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잡범들은 용서치않고 처단했던 그가
마지막
순간 최대의 악당인 킹핀을 살려둔 이유는 무엇일까? 역시 이해하기 힘든 불안정한 캐릭터다.‘엑스맨’은 X염색체에 돌연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는 인간들로 각자 다양한 초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포의 ‘검은 고양이’(1845)를 읽으며 전율을 느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 가운데 이
마지막
대목은 언제 봐도 소름이 끼칩니다. 시체 위에 앉아있는 검은 고양이. 꿈에 나올까 무서운 모습이죠. 이처럼 검은 고양이는 늘 악운이나 재앙의 상징으로 표현되곤 했습니다.그렇지만 당사자인 고양이로선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한곳에 모아놓은 로보덱스의 전시장 한가운데도 아톰이 누워 잠들어 있었다. 행사
마지막
날에는 잠들어있던 아톰이 눈을 뜨고 일어나는 모습이 연출돼 이를 지켜보던 수천명 관람객들의 갈채를 받았다.장난감 로봇의 인기에 변화일본에서 최신 로봇들을 하루 동안 살펴볼 수는 없을까. 다양한 로봇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에너지를 내놓는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체내에 있는 암세포지역에서 양성자 빔은
마지막
멈추기 직전에 많은 에너지를 내놓는 피크가 생긴다. 이 피크는 X선이나 전자와는 다른 양성자 빔의 독특한 특징이다. 양성자와 같이 전기를 띠는 입자 빔은 물질에 입사했을 때 단위길이 당 잃는 빔의 에너지가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0명)를 대상으로 약의 효능을 시험하는 것이다 환자 수를 좀 더 늘리면(약 200명) 임상 2상,
마지막
으로 대규모 환자 집단(약 1000명)을 대상으로 부작용을 세세히 테스트하는 과정이 임상 3상이다 임상 4상은 약물을 시판한 뒤에 약물복용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약효(부작용)를 찾는 시험을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천체역학에서 행성의 영년섭동(永年攝動)의 운동을 구할 때 등이다영년이란 명칭은 이
마지막
예에서 유래한다 각 원소의 고유한 스펙트럼선 또는 그 일부에 의해 구성되는 X선 특성 X선이라고도 한다 물질에 전자선 등을 투사하여 원자의 내각전자(內殼電子) 하나가 방출된 자리에 그 원자내의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통일장이론’(unified field theory)이다. 아인슈타인 역시 통일장이론을 찾는데 생애의
마지막
30년을 보냈다.만물의 이론과 11차원의 우주칼루자의 이론은 1970년대 말에 다시 물리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공간이 더 높은 차원을 포함하는 경우 중력과 전자기력의 두가지 힘을 통합할 수 있다는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해보면 어떨까. 흥미롭게도 가장
마지막
에 쬐어준 빛에 의해 개화 여부가 결정된다. 즉
마지막
에 쬐어준 빛이 6백60nm 빛이면 개화가 억제되고, 7백30nm 빛이면 개화가 일어난다. 이같이 개화반응에 광전환성을 보이는 현상은 광주기 인식에 피토크롬이 관여한다는 명쾌한 증거다. 광전환성은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