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화
대화
야그
얘기
대담
회화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이야기
"(으)로 총 6,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용해 정보를 어떻게 ‘표현하는가’지요.”DNA의 정보가 표현된 것이 단백질이다.달리
이야기
하면, 정보(유전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하는 것이 합성생물학의 다음 관심사라는 뜻이다.기존에도 DNA를 조합해 원하는 단백질을 얻는 연구를 했다.하지만 그 수준을 넘는 합성도 생각해볼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관련한 비밀 정보가 담겨 있는 폴더 두 개를 열람하게 된다”고 말했다(농담이라는
이야기
도 있다). 한쪽에선 UFO 논의가 앞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다른 한쪽에선 외계인에 대한 비밀 정보가 있다고 폭로하는 모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런 가운데 최근 아시아권에서는 UFO 목격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뱀과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훗날 ‘은혜 갚은 까치’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이야기
다. ‘한 나무꾼이 산길을 가다가 뱀에게 잡아먹히려는 꿩을 구한다. 그 날 밤, 나무꾼은 길을 잃고 젊은 여인의 외딴 집에서 신세를 지게 된다. 젊은 여인은 낮에 나무꾼이 죽인 뱀의 원수를 갚으려는 암컷이었다. ... ...
성층권에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경험을 토대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해결하는 학생들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이야기
했다. 학생들 스스로 아이디어를 내고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물론 실패도 겪었지만 과정에서 얻은 교훈이 학생들을 성장시켰다. 한 단계 성숙한 bongSTEAM 학생들의 앞으로가 더욱 기대된다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 글자가 된다. 마치 석고로 부조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물이 담겨 있을 때
이야기
다. 물을 빼면 물먹은 솜처럼 흐물흐물해진다. 다시 물을 부으면 형태를 회복한다.이 교수는 이 물질을 독창적인 방법으로 만들어 지난해 12월 2일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DNA 나노 재료로는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글씨를 쓸 때도 마찬가지다. 왼쪽 위에서부터 가지런히 글을 써내려간다.왼손잡이라면
이야기
가 조금 달라진다. 사실 기자가 왼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은 공기놀이 밖에 없어서 주변 사람들의 증언(?)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다. 왼손잡이 지인의 고백에 따르면 학창 시절 노트를 정리할 때 가장 ... ...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소속 수의사들과 함께 경주마들을 진료하고 있다. “다른 수의사들과 말에 대해
이야기
하며 함께 일하는 게 무척 즐겁고 좋은 경험”이라고 한다. 아무리 바빠도 서울과 가까운 경마장을 찾는 것은 물론 때로는 제주에 가서 말을 타기도 한다.“말 전문의가 되려면 공부도 많이 해야 하고 처음에는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
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실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뇌-기계 인터페이스가 여는 세상은 과연 현실일까
이야기
속 세계일까 궁금해진다.체험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대상은 과연 현실일까 아닐까. 분명 존재하지만 눈으로 볼 수 없었던 현실을 만나보자. 현미경 속 세계를 탐구한 ‘와우! 현미경 속 놀라운 세상’으로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만나지 않더라도 책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으면 좋은데, 이공계 인사들이 자신의
이야기
를 담은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런 면에서 ‘과학을 이끄는 나침반’은 반가운 책이다. 30년 동안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연구원의 길을 걸어온 저자 이규호 박사가 자신이 그동안 꾸준히 연구하면서 느낀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렇다면 아프리카와 거의 똑같이 오래된 호모 에렉투스가 아시아에서 존재했다는
이야기
가 됩니다. 그러나 자바인 화석의 연대는 논란이 많습니다. 이 문제는 아직도 분명한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그런데 보다 확실하고 강한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터키 북동쪽에 있는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