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데이터
데이타
정보
data
소식
컨텐츠
내용
d라이브러리
"
자료
"(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아폴로계획을 통해 3백82kg의 귀중한 달 암석이 지구로 운반됐고 3만3천여장의 우수한 사진
자료
를 확보할 수 있었다. 지구인이 떠난 뒤에도 달에는 무인월면탐지계 4대가 남겨져 지속적으로 달의 환경을 모니터했으며 1977년 예산 부족으로 지구에서 신호를 끊기 전까지 작동했다.하지만 인류의 가장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게재될 한 논문에 대한 엠바고(보도일자제한)를 4일자로 해제했으며 해당 논문과 관련
자료
를 인터넷 웹사이트에 공개했다는 것. 사이언스가 비중이 큰 논문을 정식 출판에 앞서 미리 발표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애초 엠바고를 걸어둔 논문을 스스로 해제하는 일은 극히 드문 일.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방식을 되풀이한다. 이를 통해 방향에 따른 전파의 강도를 잰다. 그런 후 측정한 전파
자료
로 관측대상의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즉 하나의 대상을 관측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여러 시간 동안 측정이 이뤄진다. 따라서 전파망원경으로 양질의 정보를 얻으려면 각도에 대한 정밀도와 함께 한번에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많은 유태인이 엄청난 고통을 받으며 죽어갔지만, 역설적이게도 뇌기능에 대한 많은
자료
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재는 누구나 자기공명영상(MRI)장치에 들어가서 지시에 따라 20-30분 정도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눈동자를 깜박거리기만 해도 거의 비슷한 뇌운동 시신경 영역지도를 만들 수 있다.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달이 떨어진 간격을 정확히 기록한다.이렇게 관측된 데이터는 중요한
자료
가 된다. 이들
자료
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우주공간에서 달의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는데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접식을 관측하기 위해서 많은 아마추어들이 총동원되기도 한다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결코 예외일 수 없다. 특히 아동들의 비만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1970년대 조사된
자료
에 따르면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이 2-3% 정도에 불과했지만, 1980년대 들어와 10%를 넘겼으며 그 이후에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엔 조사 대상자에 따라 20%가 넘는다는 보고도 발표된 바 있다.관련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값보다 크면 공 모양, 이보다 작으면 말안장 모양이 된다. 평탄한 우주를 말해주는 최신
자료
는 우주의 전체 밀도가 특정한 값을 가진다는 의미다.불행히도 이 결과는 현재까지 알려진 물질 밀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천문학자들이 빛으로 직접 관측하거나 중력 효과를 통해 예측했을 때 은하, 행성,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있었다. 분석해보니 짐작한 대로 참나무로 만든 숯이었다.당시의 숲은 발굴되는 유적
자료
와 기록, 그리고 여러가지 정황으로 미뤄봐 지금의 경주와는 달리 소나무가 아니라 참나무를 중심으로 하는 넓은잎나무가 대부분을 이뤘다. 참나무는 숯으로 없어지고 다른 종류의 나무는 불 때는 나무로 ... ...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강의 도구의 원천인 셈이다.프로젝트는 강의의 전반적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
를 독창적 방법으로 제시하거나, ‘왜 인이 생명현상에 필수적인가’하는 구체적 주제에 대해 답하는 방식이다. 특히 가장 인기를 끄는 프로젝트 형식은 ‘광수 생각’같은 시사만화를 활용해 과학의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소개됐다. 그 동안 지구에 떠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의 평균색을 알아내려 했지만,
자료
가 너무 방대해서 불가능했다.슈나이더 박사팀의 아이디어는 달이라는 ‘거울’에 비친 지구의 모습을 살피는 방법. 초승달이나 그믐달이 뜰 때처럼 달의 어두운 부분이 나타날 때 지구의 모습이 달에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