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특히 초끈이론에 기반한 급팽창 모델들은 r값이 10만분의 1보다 작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현재 관측의 정밀도 상, r값이 100분의 1보다 큰 경우만을 관측할 수 있다. 이번 발표 전까지 학계에서 바이셉2가 급팽창 가설을 증명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고 본 것도 이 때문이다. ... ...
- “교실에 과학책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자녀를 위해 교실에 선물하는 먹을거리 대신 마음의 양식인 작은 도서관을 선물해 보는 게 어떨까. 요즘에는 서점 수가 줄어 주위에서 책을 보기도 쉽지 않다. 학생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교실에 항상 놓여 있는 과학책은 균형 잡힌 독서를 도와주며, 책을 읽고 생각을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처음에 내려온 빗물은 지붕 위에 있던 먼지가 씻겨 내려와 더러웠다. 그래서 작은 물통을 하나 더 설치해 1차로 가라앉히고, 맨 위에 뜬 깨끗한 물만 따로 받아 모았다. 간단해 보이지만, 정수처리장의 침전 방식을 응용한 것이었다.빗물탱크도 시행착오를 겪었다. 처음에는 ‘꿀렁꿀렁 움직이는’, ... ...
- Part 2. 상상 속 건물을 마음대로 짓는 비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정도 비싸기 때문에, 곡면 패널을 적게 쓸수록 좋다. 가능하다면 큰 곡면패널 하나보다 작은 평면패널 여러 개를 붙이는 것이 이득이다. 이걸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파라메트릭 디자인이라면 거뜬하다. 처음부터 평면과 곡면 패널의 개수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뒤 수학 방정식을 풀듯이 곡면 패널의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화산이 수백~2000m 이상의 두꺼운 퇴적층 아래에 묻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크고 작은 화산체는 50여 개 정도로, 높이 1000m 이상의 대형 화산체도 다수 포함돼 있었다. 이들은 대체로 약 2000만 년(마이오세 초기)~1100만 년(마이오세 중기) 전에 분화했다.해저 화산층은 3단계에 걸쳐 만들어졌다. 가장 ... ...
- 고리 두른 소천체 등장에 천문학자들 ‘멘붕’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커리클로 때문에 예외가 생겼다. 연구팀은 “혜성이 충돌하거나 작은 천체끼리 충돌해도 파편이 만들어질 수 있다”며 “고리 탄생을 설명할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그 이유는 고음을 내는 부분으로 갈수록 현이 가늘어지기 때문에, 저음에 비해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차단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 ...
- 산호의 털이 만든 화려한 소용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를 찍은 작품이에요. 아래쪽에 붉은 색을 띤 부분이 산호지요. 산호 표면에 나 있는 작은 털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90분 동안 연속으로 찍어 겹친 뒤 색깔을 입혔어요. 산호는 이렇게 털을 움직이면서 물속에 들어 있는 양분을 빨아들이고 몸속에 있는 노폐물을 내보낸답니다 ... ...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다제내성 결핵균을 지닌 채 집으로 돌아가죠. 이들이 시베리아의 거친 겨울을 가족들과 작은 오두막에 갇혀 보내는 동안, 죄 없는 가족들은 결핵에 무방비로 노출돼요.그래도 남의 나라 이야기라고요? 천만에요. 세르게이 몸 안에 있던 결핵균이 바로 나와 내 가족을 해칠 수도 있어요. 전염병에 이미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아주 얇은 고체로 된 막인 멤브레인을 사용합니다. 물속에서 멤브레인에 10nm 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만 열어놓고 전기장을 걸면 DNA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두께 1.5nm 정도인 DNA 가닥이 실타래 풀리듯이 구멍을 지나가요. 구멍이 충분히 작으면 전기전도성의 차이를 측정해서 어떤 분자가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