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괄
내포
포섭
포용
함축
함유
내복
스페셜
"
포함
"(으)로 총 3,5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기간 동안 867마리가 다른 실험을 위해 희생됐다. 즉 그 시점 이전까지만 사망률 통계에
포함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나이가 적을 때 사망률이 더 많은 개체에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더 크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모을 때까지 3299마리 가운데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밀고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1차관 역시 “백두산을
포함
해 감염병과 미세먼지 등 남북 공통의 문제를 과학기술 협력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남극의 세종 과학기지처럼 북한에 백두산 연구를 위한 단군 과학기지를 만들어 정치에 흔들리지 않고 연구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수질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의 한 청바지 염색 공장에서 나온 폐수로 인디고가
포함
돼 있어 파랗다. - Greenpeace Asia 제공 그런데 인디고는 물에 녹지 않는 분자라는 게 문제다. 염료가 물에 안 녹으면 실이나 천을 염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염색공장에서는 먼저 인디고를 물에 녹을 수 있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요동을 치는 정도가 덜 한 등 ‘평정심’을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를
포함
, 글을 쓰는 등의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에도 일이 조금 잘못되기라도 하면 마치 ‘나’라는 사람 전체가 우르르 무너져 내린 것처럼 힘들어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아마 ‘나의 작품 = 나’라고 생각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변이형을 지니고 있는 반면 그 밖의 사람들에서는 변이형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술에
포함
된 알코올(에탄올)은 간에서 먼저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뀐 뒤 최종적으로 아세트산이 돼 해독된다. 지구촌 인구 70억 명 가운데 Aldh2 유전자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5억 4000여만 명으로 10%가 채 안 되는데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
2017.12.30
이야기 하는 데에는 어떤 상황이 닥쳐와도 비교적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 특성 또한
포함
될 것 같다는 생각이다.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외적 사건의 특성에만 휘둘리지 않고 마음에 항상 어느 정도의 차분함과 이성을 남겨놓을 수 있는 능력이니 말이다. 어느 정도 평정심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즉 에너지가 들어가는 작업이라는 걸 생각하면 그럴듯한 현상이다. 한편 Rac1은 사람을
포함
한 척추동물에도 있는 단백질이다. 그렇다면 사람에서도 비슷한 망각 메커니즘이 작동할까? 이에 대해서는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지만 게놈분석연구결과 Rac1 유전자가 자폐 관련 질환과 연관돼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20개 정규 아미노산이 아닌 비정규 아미노산을 붙이면 결국 다양한 비정규 아미노산이
포함
돼 새로운 기능을 지닌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이 일상화되려면 갈 길이 아직 멀다. DN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비용이 크게 떨어지면서 지난 2010년, 기생 박테리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것 같다. 물론 단세포 진핵생물(원생생물)인 말라리아원충도 기생체(parasite)이므로 이를
포함
하면 여러 번 다뤘지만, 기생충을 맨눈에 보이는 벌레(蟲)로 한정했을 때 그렇다는 얘기다. 지난 2015년 실명이나 상피증을 일으키는 사상충의 구충제인 이버멕틴(Ivermectin)을 개발하는데 기여한 오무라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사타구니에서 4㎠ 크기의 피부 조각을 채취했다. 여기엔 피부 재생을 돕는 줄기세포 역시
포함
돼 있다. 채취한 피부엔 레트로바이러스를 통해 건강한 LAMB3 유전자를 삽입했다. LAMB3는 소년의 질환을 유발한 원인 유전자다. 연구진은 유전자를 삽입한 피부를 50~150㎠의 대면적으로 배양했다. 이후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