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2,75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09
걸음걸이 주기는 다리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즉, 다리가 짧은 뱁새는 다리가
긴
황새보다 걸음걸이 주기가 짧아서 종종걸음으로 빠르게 걷는 것이다.물리진자의 주기 T=2$π\sqrt{\frac{2L}{3g}}$ L : 다리 길이 g : 중력가속도(약 9.8㎨)진짜 동물처럼 걷는 로봇동물의 다리는 주변 환경에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9
태양계 밖에서 해답을 찾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지구는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도 살아남
긴
한다.연구팀이 주목한 건 지구에서 4570광년 떨어진 페가수스자리의 백색왜성 V391 Peg이다. 연구팀은 이 별이 거성 단계를 거쳐서 폭발을 막 마친 노년기의 태양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V391 Peg은 폭발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09
이 경우도 원통과 직접 맞닿는 지역이 가장 정확하게 그려진다. 우리나라처럼 남북으로
긴
나라의 지도를 그릴 때는 원통을 눕혀서 투영하는 게 유리하다. 좌우로 넓은 북반구 대륙의 지도는 종이를 고깔 모양으로 말아 지구에 씌워 투영하는 방법으로 만든다.지구를 평면에 투영하면 땅의 모양은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09
다시 교미를 하는 것이었다. 수명이 한 달도 채 안 되는 초파리에게 24시간은 상당히
긴
시간이다. 교미할 수 있는 시간의 상당 부분을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스미스 교수는 교미 지연이 일어나는 이유가 궁금했다. 일단 수정과는 관련이 없었다. 교미 지연을 겪고도 알을 낳지 않는 암컷이 많았다.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09
끝까지만 재생하면 되는 손 이식과 달리 팔 이식은 윗팔부터 손가락 끝까지 너무나
긴
거리이기 때문에 재생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신경이 죽을 수도 있었다. 그런데 우연히도 면역억제제에서 신경 재생을 촉진시키는, 의도치 않은 작용이 나타났다. 이 남성은 수술 1년만에 팔꿈치를 접었다가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09
나 있는 정문인 광화문은 앞으로 넓게 뻗은 옛 육조거리를 향해 팔을 쫙 벌린 모습으로
긴
담을 펼치고 있습니다. 마치 온 백성을 따뜻하게 품으려고 했던 조선 왕처럼 말이죠. 광화문 왼쪽과 오른쪽 상단에는 궁궐의 화재를 막으면서 동시에 공평과 정의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 해태도 있습니다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과학동아
l
201508
때문이다. 일부 블랙홀이나 펄사 쌍성계에서 오는, 주파수가 0.1mHz에서 0.1Hz 사이인
긴
파장 중력파는 아예 지구에서 검출하기 어렵다.리사는 위험도가 큰지라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올 11월 길잡이 위성부터 발사한다. 작은 규모의 검출기를 탑재해 시험해보기 위해서다. 원래 리사는 미국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
수학동아
l
201508
다른 공룡과 비교했을 때 몸무게에 비해 부피는 턱없이 작았습니다.이를 이상하게 여
긴
연구팀은 삼차원 골격모델을 토대로 몸무게를 다시 추정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남아 있던 골격을 레이저로 스캔한 뒤, 3차원 볼록 다각형으로 뼈가 남아 있지 않은 부분을 메우는 방법으로 골격 구조를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
수학동아
l
201508
건가요?저는 원숭이나 뱀하고는 꼬리가 다른 모양입니다. 대부분 원통 모양의 가늘고
긴
꼬리를 가졌지만, 제 꼬리는 조금 특별합니다. 직육면체를 차곡차곡 쌓아올린 모양이지요.연구팀은 당신의 꼬리를 어떻게 관찰했나요?연구팀은 제 꼬리가 다른 동물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위해 3D 프린터를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08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지구형 행성이 실제로 많이 있다고 해도 아직은 외계행성까지 가
긴
어렵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