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d라이브러리
"
마이크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02
출력장치가 사람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진다면 사람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을까.
마이크
로 단위에서 최대한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기가 있을 수 있고, 나노 단위까지 작아져서 더 좋아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를 찾아서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02
소형화 기술을 어디엔가 응용하려는 호기심을 갖는다. 따라서 BioMEMS는 생명과학자와
마이크
로 엔지니어의 결합으로 생겨난 분야다.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로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생명공학연구 패러다임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02
동작으로 나타나므로 게임을 위해 몸을 열심히 단련하는 일이 필요할지 모른다.
마이크
와 헤드폰을 통해 하루종일 컴퓨터와 대화를 나누며 센서카메라를 통해서 희로애락을 감지해주는 인터페이스가 등장해 외로운 사용자들을 기쁘게 해줄지도 모른다.첨단분야의 기술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 ...
심해 5천m에 새로운 오징어 발견
과학동아
l
200201
개체만 발견돼 왔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번 사이언스지에 발표한 미국 해양대기국(NOAA)의
마이크
벡키온 박사는 이를 미스터리 오징어라고 부른다. 그는 지금까지 발견된 오징어와 전혀 다르다고 생각한다.벡키온 박사가 이처럼 말하는 근거는 특이한 다리모양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10개의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01
이 기술로는 아무리 작게 만들어도 0.15㎛(1㎛=${10}^{-6}$m) 정도에 머문다. 이와 같은
마이크
로 기술이 갖고 있는 크기의 한계를 나노기술은 획기적으로 뛰어넘는다.양자역학의 세계 펼쳐진다 현재 차세대 초소형 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
로 화학 공장
과학동아
l
200112
경제적인 이득이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지름 3cm의 플라스크 대신 1백분의 1크기인 3백μm
마이크
로반응기를 쓸 경우 시료의 양을 1백만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1년 걸릴 일 며칠만에 해결초미세 화학공정이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개발된 신물질은 급속도로 진행되는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11
개발이야말로 Lab-on-a-chip분야와 DNA칩 개발의 필요∙충분조건이다”라고 말한다. 현재는
마이크
로 단위의 펌프와 밸브를 제작해 칩 안에서 액체를 제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유전병 진단하는 DNA칩생의학 분석화학의 또다른 응용분야는 DNA칩이다. DNA 칩은 엄밀히 말 Lab-on-a-chip의 특화된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10
어렵다. 나노과학은 20세기
마이크
로 소자(컴퓨터 속에 있는 각종 반도체 칩이 바로
마이크
로 소자에 속한다)보다 더 앞선 나노미터 규모의 미세 장치를 개발하고자 등장했다. 따라서 의학이나 생물학 분야에서 관찰용으로 사용되는 전자현미경보다 더 획기적인 새로운 장치가 등장해야 했다.스위스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10
장치, GPS 수신기, 3백60도 관측 비디오 카메라, 야간투시장비, 헤드폰과 음성인식
마이크
로 구성된다.지휘통제소는 첩보위성 등으로 포착한 적군의 위치를 대원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보여준다. 특수부대원은 일종의 안경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육안 관측도 하지만, 각종 정보를 가상현실로 볼 수 ... ...
적혈구 만한
마이크
로 황소 탄생
과학동아
l
200109
일본의 과학자가 폴리머와 레이저를 이용해 적혈구 크기의
마이크
로 황소를 만들었다는 연구결과를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8월 16일자에 발표했 ...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인간 체내에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과 같은
마이크
로머신 연구를 한차원 높인데 큰 의미가 있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