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전파
d라이브러리
"
전파망원경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06
속해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그 구성원인 분자들로부터 방출되는 전파를 관측하는
전파망원경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이들 성간구름들은 대부분이 수소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외에도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수증기 등과 다양한 탄소복합 유기물질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06
산의 계곡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것인데 지름이 3백m가 넘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전파망원경
은 대덕 전파천문대의 14m 짜리다.따라서 우리은하내 또는 우리은하 주변지역에 존재하는 중성수소의 존재는 쉽게 21cm파를 잡아냄으로써 알아낸다. 지금 학자들이 우리은하 내에서 중성수소 21cm파의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06
있다.우주인과의 교신한층을 더 올라가면 우주인과의 교신을 시도하는 곳이 나타난다.
전파망원경
(모형)을 통해 외계인과의 접촉을 시도하던 중 극적으로 교신이 이루어진다. 45인치 모니터에는 외계인이 나타나 자신들의 생활 모습을 지구인(관람객)에게 자세히 소개한다. 모든 작업이 ... ...
UFO
과학동아
l
199304
그러나 지구 밖 고등문명체에 대한 연구는 천문학자들이 확률론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전파망원경
을 통한 전파추적 등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가 이 연구에 간여하기는 어렵다. 뾰족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확률로 따져서 우리 은하에만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이 5,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04
은하수에 포함된 먼지구름이 광학망원경의 시계를 희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파망원경
은 그 먼지를 통과할 수 있다.먼지는 도움이 되기도 한다. 항성이 먼지구름을 밝힐 때에는 항성으로 형성되어 버린 그 물질을 연구하기가 더 쉬워진다. 더구나 가장 최근에 일어난 초신성의 폭발로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04
수십 ㎞ 서로 떨어진 두 LIGO를 활용, 중력의 파동을 찾아내기 위한 거대프로젝트가 현재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다.밤하늘에 반짝이는 수없이 많은 별들을 바라보면 저 별들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무겁디 무거운 별들이 어떻게 저처럼 공중에 떠 다닐 수 있나 하는 소박한 의문을 누구나 한번쯤은 가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03
보이지 않는 우주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갖가지 방법이 동원된다. 지구대기에 도착하는 빛과 전파는 물론 우주공간에 망원경을 올리기도 하고 중력파나 중성미자 등을 검출하기도 한다.천문학이란 한마디로 '빛'의 학문이다. 다른 자연과학에서처럼 연구대상을 실험실로 가져올 수는 없다. 천문학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03
관측됨) 등은 거의 확실한 블랙홀의 후보로 알려지고 있다.X선망원경으로 관측된 결과는
전파망원경
과 마찬가지로 도달하는 X선의 강도에 따라 등고선이 그려진다. 천체로부터 방출되는 X선은 몇몇 대상을 제외하고는 그 세기가 매우 미약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X선 천문학자들은 보다 감도가 좋은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03
답변이 나오는 한 과학교육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은
전파망원경
설치 이후 우리나라 천문학사에 획을 긋는 큰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 진행 상황은 어떻습니까."세계적인 수준이 5m를 넘어 10m에 육박하고 있으니까 거기에 비하면 보잘 것이 없지요. 하지만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03
우주에서 오는 전파의 세기가 극히 약하다는 것이다. 상상이 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대덕
전파망원경
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전파의 양은 1조 분의 1의 1조 분의 1 와트(watt) 정도까지다. 이를 위해서는 전파 수신기를 영하2백60℃까지 냉각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현재 영하 2백69℃까지 냉각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