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12
- 이용하면 그보다 적은 연산으로도 함수 판별이 가능하다.데이터 탐색 알고리듬은 특정 자료를 검색하는 데 쓰이는 알고리듬이다. 예컨대 병에 까만 바둑알이 99개, 하얀 바둑알이 1개 있다고 하자. 하얀 바둑알을 찾으려면 평균적으로 50번은 찾아야 한다. 이를 좀 더 일반화하면 N개의 정보 중에서 ...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12
- 컴퓨터의 작품이다. 이렇게 컴퓨터가 작곡한 음악을 알고리즘 작곡이라고 부른다. 보통 특정한 공식이나 함수를 이용해 알고리즘을 짜면 컴퓨터가 이에 맞춰 곡을 만든다. 알고리즘 작곡이라는 것이 우리에겐 매우 생소하지만 그 역사가 벌써 50년이나 됐다. 국내에서도 미디어 아티스트인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12
- 점이다(이번 테러처럼). 이 사실은 인류가 지닌 또다른 특성을 떠올리게 한다. 반대로 불특정 다수를 배려하고 도와주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피를 나누지 않은, 생판 모르는 ‘남’과도 집단을 구성한다. 태어나는 순간 이미 그런 ‘남’으로 구성된 사회의 일원이 되며, ... ...
- 식품 알레르기, 피하지 말고 먹어라과학동아 l201512
-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캐나다 매니토바대 엘리사 아브람스 교수팀은 유아기 때 특정 음식물을 섭취한 시기와 알레르기 발병률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 38편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한 예로 땅콩을 유아기 때 일찍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보다 성인이 됐을 때 땅콩 알레르기가 ... ...
- 수학으로 배터리의 남은 수명을 측정하다수학동아 l201512
- 아니라 자동차에도 쓰입니다. 우선 연구팀은 볼보 트럭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특정 화학 반응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배터리 수명을 줄이는 주된 원인이 ‘고체 전해질 간기층’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이라는 걸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기존의 모형과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12
- 미국 프린스턴대 수잔 피스케 교수팀은, 사람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대할 때 뇌의 특정 회로를 불활성화시켜 이들과 사회적 교감을 피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프린스턴대 학부생들에게 마약중독자, 노숙자 같은 부정적 고정관념이 있는 사람과 아이, 노인 같이 긍정적인 느낌을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12
- 빛과 소리 자극이 동시에 주어질 때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쥐의 뇌 특정 부위를 비활성화시켰다. 실험 결과 전두엽피질을 비활성화시켰을 때와 시상망상핵(TRN)을 비활성화시켰을 때 올바른 방향을 찾는 확률이 낮아졌다.할라사 교수는 “뇌의 TRN과 전두엽피질이 ‘선택’에 중요한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12
- 극도로 민감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편도체는 정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거나, 특정 사건과 감정을 연결지어 기억하는 부위다.미국 터프츠대 심리학과 리사 신 교수팀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MRI) 실험을 통해 만성 PTSD 환자의 경우 전두피질에 있는 전방대상피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12
- 위치추적기를 부착했다. 각 개체 사이의 거리를 시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지도부 격인 특정 원숭이 몇 마리가 무리의 이동 방향 결정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원숭이들은 이들의 결정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었다. 흥미롭게도, 무리 내에서의 계급이 높다고해서 이동 방향 결정에 미치는 ...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수학동아 l201512
- 공간의 모양을 상상하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수학자 푸앵카레는 ‘3차원에서 두 물체가 특정 성질을 똑같이 가지고 있으면 두 물체는 같다’라고 추측했다. 쉽게 말하면, 밧줄을 달고 우주 끝까지 갔다가 되돌아 온 로켓에서 우주의 모양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밧줄 양끝을 끌어 당겨서 밧줄을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