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1110
제작한 지능형자동차]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대학원에 진학하면
학부
과정에서 배운 기본적인 전기 전자 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좀 더 깊은 이론을 배운다. 자신이 연구하고 싶은 분야를 좀 더 세분해서 연구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와 자동차 자체 정보 등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해야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10
이 논문의 공동저자에는 우리나라 천문학자가 7명이나 포함돼 있다. 서울대 천문물리
학부
임명신 교수팀(초기우주연구단) 5명과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의 전영범, 성현일 박사가 그들이다.블랙홀이 별을 잡아먹는 과정을 좀 더 확실히 증명하기 위해 위성의 망원경 뿐 아니라 지상의 여러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10
마치고 오후 비행기로 출국하기 직전이었다. 해설과 통역을 위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연구교수가 함께했다.“42년 동안 양자역학계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요? 실험의 비중이 늘었다는 점이에요. 제가 책을 쓸 때만 해도 이론물리학 연구주제는 대부분 사고실험이었어요. EPR 패러독스처럼요. ... ...
노벨과학상 양성소 일본 교토대
과학동아
l
201109
현재도 문과보다는 이과가 우세한 편이다. 현재 교토대에는 15개의 대학원과 10개의
학부
, 30개 이상의 연구소와 연구센터가 있다. 교수진은 약 3000명, 교원은 2500명, 그리고 학생은 약 2만 2000명이다.교토대는 자유와 창조성을 중시한다. 학교는 아낌없이 연구비를 지원하지만 연구자에게 연구 성과를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09
우리 인간에게도 희망은 있다”고 덧붙였다.진화론 전문가인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
학부
교수는 “이런 관찰은 조직에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큰 시사점을 준다”며 “막연한 논의보다는 정책에 반영해 시스템을 바꾸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 ...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09
막 규명되기 시작하고 유전자의 작동 원리가 밝혀지던 ‘분자유전학’의 여명기였다.
학부
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가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려는 의욕에 불타고 있던 에번스 교수는 불운하게도 시험기간에 큰 병에 걸려 대학원을 진학하지 못했다.결국 런던대 엘리자베스 듀처 교수의 조교로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09
전공별로 나뉘어 만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다 같이 GIST라는 이름으로 만나야죠.
학부
는 열린 전공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전기전산 학생이 생명과학 수업을 들어도 어색하지 않게요.”GIST의 학사과정은 미국 일류대학 못지않게 빡빡한 편이다. 하지만 GIST에서는 ‘지덕체’ 대신 ‘체덕지’라는 ... ...
올해 IMO에서 한국 13위, 대책은?
수학동아
l
201109
IMO에서 북한은 7위를 차지했다. 한국 대표팀의 부단장을 맡고 있는 이승훈 영동대 교양
학부
교수는 “우리나라가 북한에 뒤질수 있다는 것은 이미 예측된 결과” 라고 밝혔다. 2009년 IMO에서 우리나라는 4위에 올랐다. 하지만 북한 대표팀 6명 중에서 한 명의 성적을 제외하면 우리 대표팀보다 성적이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부분별로 고유진동수가 일일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김수봉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큰 고유진동수가 있고, 연결 구조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곳곳에 고유진동수가 있기 때문에 같은 건물이라도 외부의 충격에 따라 공진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반응을 일으키면서 탄소, 산소, 철 등 다양한 원소가 만들어졌다.구본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우주먼지의 대부분은 별의 진화 과정 중 거성 단계에서 껍질을 이루는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할 때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때 방출된 엄청난 가스가 식으면서 응결해 고체입자인 먼지를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