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계일론 머스크가 개발 중인 기술은 컴퓨터로 사람의 뇌 신경 신호를 해석하는 뇌 공학 기술입니다.‘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라 하지요. 인간은 뇌에서 명령(신경 신호)을 받아 움직여요. 예를 들어 TV를 켜는 과정을 단계로 나타내면 ‘TV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뇌의 신경신호가 ...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학자의 수는 많지 않지만, 수학은 DART 임무에 매우 중요해요. 지질학자, 천문학자, 공학자 모두 뛰어난 수학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고 엄청나게 많은 수학 계산을 수행했거든요. 수학의 본질은 창의성 Q ─ 원래 소속돼 있는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에서는 어떤 일을 하나요? 저는 계산 ... ...
- [기획] 0차원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결해 선을 만들고, 다시 선과 선을 연결해 면이 만들어지는 세계죠. 그런데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이 세계와는 조금 다른 차원의 물질을 다룹니다.이들이 다루는 0차원, 즉 점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점처럼 생긴 것들입니다. 1m를 10억 개로 나눈 하나의 조각이 크기를 재는 단위가 되는 나노 세계.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하지 않을까요. 우리가 살던 세계에선 응당 그렇습니다. 그런데 몇몇 과학자들과 공학자들은 이 ‘차원’이란 단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힌트를 드리자면 ‘생김새’입니다. 공간에 생김새가 있다는 이야기는 또 어떤 얘기일까요? 그건 직접 0차원 공간에 들어가 살펴보도록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2022년 한국줄기세포생물학회(KSSCR)와 Kbio-X 가 주관하는 글로벌 젊은 과학자상(Global Young Scientist Award) 대상을 수상했다.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않지만 취업에 도움이 되는 수업)도 많이 운영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을 들은 기계공학과 4학년 학생이 창원 스마트산업단지에서 취업에 성공한 뒤 후배들에게 직접 교육을 하기도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산학협동이 이뤄지는 셈이다.*이 기사는 창원대의 제작지원을 ... ...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네옴(NEOM)’은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네오(NEO)’와 아랍어로 미래를 뜻하는 무스타크발(Mustaqbal)’의 첫 글자 ‘M’을 합친 말로, 사우디아라비아의 A있는데요.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규모와 모습 때문입니다. 상상초월 스마트 시티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나서는 열심히 수업을 듣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공부도 했지요. 하지만 사실 소년은 공학보다 수학에 더 흥미를 느꼈습니다. 기술은 금세 낡고, 과학은 더 나은 이론으로 대체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학은 다르다고 느꼈어요. 고대인이 발견한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여전히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래도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 아니겠어요? 김태현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입자의 양자상태를 하나하나 전송하는 식의 양자전송은 원칙적으로는 가능하다”며 저희 래빗홀 컴퍼니에 질문을 하나 던졌습니다. “원칙적으로 양자상태로 표현한 정보는 전송 가능합니다.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자세히 보면 나노 입자가 완벽한 구형은 아닐 수 있습니다. 김일두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나노 물질의 가로세로 비율이 비슷하면 0차원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가로 혹은 세로를 조금씩 더 늘려보면 0차원 물질이 언제 1차원이 될까요? 김 교수는 “종횡비가 1 : 2 수준까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