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니봇을 개발한 이은승 대표의 설명을 들은 후 독자 기자들이 상자를 들여다보자 나머지 부품들과 웬 카드가 수십 장 있었어요. 카드에는 저마다 화살표와 계이름, 격자무늬 같은 그림이 있었어요.“이 카드들은 ‘코딩카드’라 불러요. 지니봇으로 코딩카드를 찍으면 앞으로 가기, 음계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거예요. ‘중력=전자기력’이라는 공식에 들어가는 여러 수치들 중 질량을 제외한 나머지 수치를 구하면, 역으로 물체의 질량을 구할 수 있는 원리지요.키블 저울은 1kg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저울이에요. 같은 킬로그램 원기를 여러 번 측정하고, 이 측정값들의 오차를 줄이는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KAU-SPUAV는 태양전지에서 나오는 전기 에너지의 20~30%만 비행에 사용해 날아요. 그리고 나머지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에 저장해두었다가 밤에 사용하고요.”배재성 교수의 설명처럼 한 번 뜨면 수십 시간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점 덕분에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요. 넓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수박과 참외는 과일이 아니라 채소입니다. 헷갈린다면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를 과일, 나머지를 채소라고 생각하면 돼요.과일과 채소의 열매는 모두 꽃이 핀 자리에 열려요. 예를 들어 여름철 대표 과일인 복숭아는 5월이 되면 꽃이 활짝 피어요. 복숭아 꽃은 둥그스름한 모양의 꽃잎이 다섯 장 달려 ...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되는 식물이 들어있었죠. 보레알로펠타가 먹은 식물의 88%는 잎사귀이고, 7%는 줄기, 나머지 5%는 식물이 타다 남은 숯이었어요. 줄기 부분의 나이테를 통해 이 공룡이 늦봄이나 여름에 죽었다는 사실도 파악했지요.고생물학자들은 이 결과를 통해 보레알로펠타가 살던 곳의 환경을 재구성했어요.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호두알 정도의 크기고, 혀밑샘은 세 개의 침샘 중 가장 작답니다.침은 99%가 물이에요. 나머지 1%에 아밀레이스, 라이소자임 등이 들어있어요. 입으로 들어온 음식이 치아에 의해 부서지면 소화효소인 아밀레이스가 음식물 속 전분을 분해해 소화기관에서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바꿔요. 라이소자임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해빙 연구를 할 땐 일주일간 한 곳에 머물고 관측기를 설치해요. 일부는 수거하고, 나머지는 바다에 묻거나 해빙 위에 올려두고 오죠. 그런데 지난 탐험에 북극곰과 헤프닝이 있었어요. 설치해둔 기기에서 데이터를 받는데, 갑자기 끊긴 거예요. 돌아가 보니 북극곰이 기기를 툭툭 치고, 헤집어놓은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했다. 네 단어 중 하나는 욕이었고, 다른 하나는 감정이 담기지 않은 일상어(중립 단어), 나머지 둘은 욕과 비슷한 소리가 나는 단어였다.그 결과, 욕을 외친 참가자들이 일상어를 사용한 참가자들에 비해 통증을 느끼기까지의 시간이 32% 길었으며, 통증을 느낀 뒤 참는 정도도 33% 더 긴 것으로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앞으로 지구 저궤도에 3236개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이중 절반은 2026년까지, 나머지 절반은 2029년에 띄울 예정이다. 아마존과 스페이스X가 위성 군단에 주목한 이유아마존과 스페이스X의 공통적인 목표는 ‘전 세계 어디서든 초고속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종합박물관이 톱사슴벌레 사진 한 장을 공개했습니다. 한쪽은 강력한 턱을 가진 수컷, 나머지 한쪽은 암컷이었습니다. 무슨 ‘아수라 백작’도 아니고. 기자는 ‘합성 의혹’을 강력히 제기하며 팩트체크를 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런데 알아보니 이게 ‘진짜’였습니다. 성염색체 분리에 문제가 생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