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햇빛
일광
자연의 빛
d라이브러리
"
낮의 빛
"(으)로 총 47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거리와 뿌연 대기 때문에 낮에도 무척 어두운데, 밝기가 지구의 1/1000 정도다. 대부분의
빛
이 거의 통과하지 못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카시니호는 토성 궤도를 돌던 7월 2일, ... 접근 거리인 33만9천km에서 타이탄을 목격했다. 이때 타이탄의 대기를 뚫고 들어가는
빛
을 이용해 타이탄의 속내를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알려지고 있다.www.seoulmilk.co.kr눈을 보호하는 전동기어 스탠드반사갓이 크면 보다 많은
빛
을 보낼 수 있고 자연 눈의 피로도 덜해진다. 그러나 기존의 스탠드에서는 그 무게를 감당하는데 한계가 있어 크기가 천편일률적. 부광조명의 제킨스(Zekins)는 모터로 작동되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대형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담당하는 물질로서 대단히 중요한 유기물이다
빛
에 의해 영상신호를 내는 비디오디스크 디스크에 ... 크며 구각(口角)은 눈의 윗가장자리에 이르고 몸
빛
깔이 검다 저온에 견디며 방류나 이식이 쉽고 ...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하루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전자가 돌고 있는 모형(模型)을 제창했다그러나 여기에 고전전자기학을 적용하면 전자는
빛
을 방출하여 점점 에너지를 잃고 결국에는 핵과 합체하게 되므로 원자의 안정성도 기체가 ...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
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밖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
빛
을 보면 곤충이 불
빛
을 향해 일제히 날아오기 때문에 밤도 나쁘지 않다.곤충이 불
빛
을 향해 날아오는 것은 곤충의 방향 ... 알 수 있는 표식이 필요한데, 이 때 달
빛
이나 별
빛
을 이용해 방향을 가늠한다. 예를 들어 나방은
빛
과 80-90도의 각을 유 ...
고양이 눈이 밤에
빛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잘 보인다.눈에 들어오는
빛
의 양은 홍채가 조절한다. ... 동공이 작아져 눈에
빛
이 적게 들어온다. 반대로 ... 동공이 커지므로 눈에
빛
이 많이 들어온다. 어두운 ... 있던 동공에 한꺼번에 많은
빛
이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에 ... 또한 어두운 곳에서는
빛
의 양이 적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는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단백 대사의 화학반응, 성장의 생리 등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원자 스펙트럼에서
빛
을 복사·흡수할 때 처음 상태와 마지막 상태 사이에서 성립하는 선택규칙 원자내 전자의 ... 가진 미소영역의 관찰 기능 외에 같은 미소영역의 동적 물체에 레이저광을 비추어 이들
빛
의 산란광에서 생기는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금속판 등의 지지체 위에 아크릴 단위체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여기에
빛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약간의 안트라퀴논류, 또 열중합 반응 방지제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했을까. 두 연구자는 온실 안에서 인공적인
빛
이 밤늦게까지 제공되는 반면, 늦가을이었던 온실 밖에서는 상대적으로
빛
을 받는 시간이 짧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결국 이 담배의 개화시기가
낮의
길이, 즉 광주기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후에 이 담배의 이름은 메릴랜드 맘모스 담배라 ... ...
꽃 피게 만드는 유전자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경우 낮에는 CO의 양이 너무 적어서 FT 발현이 증가되지 못하고, 밤에는 CO의 양은 많지만
빛
이 없어서 FT 발현이 증가되지 못하는 것이다. 반면 늦봄이나 여름의 경우 낮에 충분한 양의 CO가 있어서 피토크롬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FT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화가 빨리 진행되는 것이다.이처럼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