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가"(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하고 싶은 일은 ‘해결된 문제(solved game)’를 만드는 것이다. 해결된 문제가 되면 상대가 어떤 수를 두더라도 반드시 이길 수 있는 필승법이 나온다. 오목의 경우엔 먼저 시작하는 흑이 반드시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체스는 이동시킬 수 있는 기물의 숫자가 몇 개 이하로 줄어들었을 때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절대 먼저 배신하지 않는 것’입니다. 단, 상대가 배신할 경우 즉각 응징하고, 또 상대가 협력하기 시작하면 다시 협력합니다.액설로드 교수는 자신의 책 ‘협력의 진화’에서 당시 토너먼트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교적 높은 점수의 프로그램 집단과 낮은 점수의 프로그램 집단을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목 교사가 부족합니다. 캄보디아에서 그런 고등교육을 할 수 있는 곳은 프놈펜왕립대가 거의 유일하다시피 합니다. 때문에 많은 프놈펜왕립대 학생들이 졸업 후 학교 선생님이 되는 길을 택합니다.하지만 프놈펜왕립대의 환경은 열악하기 그지없습니다. 제가 방문한 2월은 캄보디아에서도 비교적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니었다. 그저, 그럴듯한 박승휴 교수라는 이름을 홍보용으로 회사 창립할 때 걸어 놓는 대가로 새로 시작하는 회사의 주식을 나눠 받은 게 전부였다. 그런데, 그 회사가 창조적 발상법 자체를 상품으로 팔겠다 어쩐다 하다가 마침 큰 투자를 받으면서 그 주식 가치가 몇 십배로 뻥튀기 된 것이었다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있는 다수의 실험실 컴퓨터로 ‘Prime95’라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작동시켜 왔고, 그 중 한 대가 이 소수를 찾아냈다. 이 수는 274,207,281-1로 기존에 발견된 가장 큰 소수보다 500만 자리나 더 길다. 이번 발견으로 쿠퍼 교수는 총 4개의 새로운 소수를 찾았고, 3000달러의 상금을 거머쥐게 됐다.이번에 찾은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삼거리 두 곳과 사거리 두 곳을 선정한 뒤 신호가 어떻게 바뀌는지, 한 신호에 차량이 몇 대가 지나가는지 등을 7차례에 걸쳐서 조사했어요. 연구를 진행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 중 하나가 8월의 폭염 속에서 통행량 조사를 하는 거였어요. 정신 똑바로 차리고 차량을 세는데 자꾸 친구들하고 다른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전개도를 오리고 붙여서 쉽게 만들 수 있어요. 실제로 각각 다른 각도로 기울어 있는 지지대가 모두 평행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야만 신기한 미끄럼틀을 볼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PART 2. 아무도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속도와 미량기체를 측정하고, 지표와 대기의 온도나 번개를 관측할 수 있다. 특히 기대가 큰 것은 금성의 초고속 바람을 고도별로 관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성은 하루가 약 240일일 정도로 느리게 자전하는 행성인데, 초속 100m가 넘는 바람이 분다. 행성 대기역학 측면에서 대단한 미스터리다. ... ...
- 프로젝트 1 저축하면 얼마나 이익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결정하는 것이 ‘금리’다. 금리는 ‘이자율’과 같은 말로, 돈을 빌려주고 빌려준 대가로 받는 이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날에 20만 원의 세뱃돈을 받아 은행에 1년간 5%★의 금리로 저축한다고 해보자. 그러면 이자는 20만 원×0.05로 계산할 수 있고, 1만 원이 된다.그런데 은행은 사람들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뒤편으로 가자 새들이 놀러와 언제라도 물과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작은 연못과 새 모이대가 놓여 있었어요.“여기 쌓아 놓은 볏집 보이죠? 아침에 보면 겨울에 배고픈 새들이 날아와 남은 쌀알들을 먹곤 한답니다. 여기서 문제! 이게 뭔지 아는 사람?”이봉희 부소장이 나무에 매달린 하얀 물체를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