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락
rock
롹
바윗돌
큰돌
바위
lock
d라이브러리
"
록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제라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세계에는 그다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이버 단체에 의해 주도됐다.히피시대를 풍미한
록
그룹 '그레이트풀 데드'(고마운 죽음)의 작사자이자 그 자신 히피였던 존 페리 발로는 지난 90년 미셸 케이포와 함께 이 재단을 공동으로 설립했다. 설립 목적은 단 한가지, '사이버스페이스의 자유를 위하여'. ... ...
성과학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대한 남성의 멸시를 조장하거나 강간을 자극하는 외설물에 대해 일반인들이 관심을 갖도
록
촉구하고, 직장 내의 성희롱이나 아동에 대한 성폭행을 처벌하는 법률의 미온적인 대처를 비판하였다. 요컨대 페미니스트들은 성문제를 정치적으로 쟁점화하여 성차별로부터 여성을 해방시키려고 노력한 ... ...
열과의 전쟁, 실내 온도 60°C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에어컨처럼 '특수한 경우'를 예외로 한다면, 자동차는 열 덩어리다. 또 열을 받아야만 씽씽 달릴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온도가 높아진다면 이 또한 위험천만. 자동차 ... 열을 받아 기화되면 작동이 잘 안되고 스펀지처럼 푹 들어가버리는 이른바 '베이퍼
록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게 없는 원시적인 뇌를 가졌다고 한다. 즉 그들의 신경시스템이 움직임에만 반응하도
록
되어 있어서, 개구리처럼 정지하고 있는 물체를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그러나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거대한 육식동물이 움직이는 물체만 볼 수 있고, 정지해 있는 먹이를 볼 수 없다는 것은 쉽게 납득할 수 없다. ... ...
3. 풍선을 처음 불 때 더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그에 따라 풍선을 부는 힘도 많이 들지만 일정한 점에 다다르면 오히려 풍선을 불수
록
힘이 덜 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내부압력이 계속 감소하기만 했다. 이것은 풍선을 불기 시작했을 때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잠깐 사이를 측정하지 못한 까닭이다.지금까지 두 실험과 두 그래프에서 풍선을 처음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관심을 끌었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1995년 3월 재빨리 ‘Green music’이라고 미리 상표등
록
을 해버렸다. 연구에만 매달려 있는 우리에게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특허를 출원하면 이름까지 보호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 잘못이었다.소녀 같은 미나리음악이라고 해서 다 식물에 좋은 것은 ... ...
3. 개인용로봇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이러한 안전한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먼저 로봇의 소재가 인간이 접촉해도 다치지 않도
록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설사 로봇의 골격이 구조적으로 단단한 재질을 요구할지라도, 로봇의 외부를 인조 고무와 같은 재질로 감싸면 최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드러운 ... ...
바퀴가 숨 막힌다 덮개를 벗겨라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커다란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말이다.그렇다면 이토
록
위험한 휠캡을 왜 장착하는 것일까? 순전히 미관 때문이다. 스틸휠은 알로이휠보다 투박하고 모양이 단순하다. 그러나 휠캡은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결국 스틸휠을 알로이휠처럼 보이게 하는 역할을 ... ...
정체된 사고에 파문이 일어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기상예보에 대한 나의 생각이 그렇다. 앞으로 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계측기가 발전할수
록
더욱 정확하고 장기적인 기상예보가 가능하리라고 믿었다. 또 인간에게 불가항력으로 여겨지는 장마나 가뭄 피해가 해소되리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이 책에서는 대기현상이 초기조건에 민감해 장기적인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환자에서는 미발육된 난소관이나 자궁의 성장촉진이 일어났으며 치료 후에 임신이 됐다.
록
은 합성 프로게스틴을 이용해 일부 불임여성을 치료하는데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실험과정에서 핑커스는 배란이 억제되는지를 관찰해 프로게스틴으로 피임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