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례"(으)로 총 1,2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물체의 수(L)’가 ‘기준 시간 동안 물체가 들어오는 양(r)’과 ‘머무는 시간(W)’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L=r×W로 나타낸다. 이 공식을 파라마운트 식당에 적용하면, 기준 시간 동안 손님들이 들어오는 양(r)은 정해져 있으므로 식사시간을 줄여야 손님이 테이블에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를 ... ...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눈에 잘 보이겠죠? 그런데 예상 고객수는 주변 인구에 비례하고, 잠재 고객의 거리에는 반비례해요. 따라서 매장의 크기를 거리로 나누고, 주변 인구수를 곱해 구할 수 있어요.예상 고객수를 이용하면 잠재 구매력도 구할 수 있어요. 바로 팔고자 하는 상품의 평균 금액을 곱하면 되죠. 이런 잠재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때문이다(용해도가 커진다). 이 때 공기 속 다양한 기체의 용해도는 각 기체의 부분압과 비례해 커진다. 바로 ‘헨리의 법칙’이다. 공기의 약 80%를 차지하는 질소는 1기압에서 부분압이 0.8기압이다. 수심 10m로 내려가면 주변압은 2기압, 질소의 부분압은 1.6기압이 된다. 만약 1기압에서 혈액 속에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함수로 나타내는 것이에요. 여기서 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가 서로 정비례인지, 반비례인지 아니면 이런 관계가 없는지를 구별하는 것이에요. 둘 중 하나의 변수를 변화시켰을 때 다른 변수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면 알 수 있지요.날씨에 관해서 회귀분석을 하면 아래와 같은 함수식을 만들 수 ...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가격을 곱해 구하지요. 이 정보를 이용하면 경제성장률도 구할 수 있어요. 소득은 생산에 비례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 요인을 제외한 실질 국내 총생산을 이용하면 되지요.국내 총생산 = 시장 가치의 총합 = 생산량 × 생산품의 가격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 국내 총생산 - 전년도 실질 국내 총생산)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이 ‘특별한 가지’에서 시럽이 있는 가지까지의 거리에 비례했다. 예를 들어, 앞선 실험에서 11번가지에 시럽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데 70~82초가 걸렸다면, 10번 가지를 ‘특별한 가지’를 인식한 뒤에는 11번 가지에 시럽이 있음을 전달하는 데 10초 내외밖에 걸리지 않았다. ... ...
- [수학뉴스] 일곱살 때 수학 실력이 미래 연봉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4~5단계 그룹은 사회경제적 지위도 상대적으로 높았다.읽기 실력도 사회경제적 지위와 비례 관계를 보였다. 예를 들어 7세 때 읽기 능력이 한 단계 높으면, 42세에 연간 수입이 약 850만 원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리체 교수는 “어릴 적에 수학과 읽기 실력을 키우는 것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에 도움이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3000℃의 고온으로 폭발하기도 한다.원작 만화에서 아이언맨 슈트는 ‘악당의 능력’과 비례해 발전해 왔다. 전자기력을 마음대로 조절하는 아이언맨 최대 적, ‘매그니토’에 대항해 탄소나노튜브 아이언맨이 탄생했다. 레이더에 걸리지 않고 침투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했다. 그런데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실제로 다양한 동물들을 비교한 결과, 과연 두뇌 크기와 소화기관 크기는 반비례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두 번째 문제는 두뇌 크기에 맞춰서 머리뼈도 자라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머리뼈가 크려면 머리뼈에 연결되어있는 근육이 먼저 작아져야 합니다. 그래야 머리뼈가 자랄 공간이 ... ...
- [화보] 어린왕자가 사랑한 사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이동하는 과정을 모델링 했다. 그 결과, 사구가 움직이는 속도가 사구의 높이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사구의 높이가 클수록 천천히 움직이고, 높이가 낮을수록 빨리 움직이는 것이다. 작은 바르한은 하루에 5cm 정도 이동하지만, 높이 30m에 너비 40m 정도의 큰 바르한은 몇 년간의 관측을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