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숨겨진 행성 존재 암시하는 전파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레 이(LOFAR)로 외계행성이 방출한 전파를 포착했다. LOFAR는 직경이 1000km가량에 이르며, 설치된 2만5000여 개의 안테나로 진동수가 250MHz 이하의 저주파를 관측한다.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26.2광년 떨어진 중심별 GJ1151과 행성 사이에 자기 상호작용이 있다는 증거를 144MHz 대역에서 포착했다. 외계행성을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뒀다가 자동으로 파이프를 통해 선반의 각 층으로 전달한다. 수조에는 양분측정기기가 설치돼 있어 실시간으로 전기전도도, 수소이온농도(pH), 수온 등을 측정한다.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배양액 속 전해질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측정 결과 전해질 농도가 낮거나, pH가 5~6.5 범위를 ... ...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20대의 일반 차량과 1대의 자율주행 차량을 투입하고, 각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중앙에 설치한 360도 카메라를 통해 추적했습니다. 또 제어전략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차량의 연료 배출량도 실시간으로 측정했습니다. 소수의 자율주행차가 교통 정체 줄였다자율주행차가 유령정체를 가장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합니다. 여기에 더해 거대한 날개와 무거운 모터까지 조립해야 하죠.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8분 가량의 영상 중 하이라이트는 발전기의 날개를 옮기는 장면입니다. 날개가 너무 커서 옮기기조차 쉽지 않더라고요. 우리가 누리는 전기가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거였다니! 나는!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로 흘려보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것이라 비판했죠. 그린피스는 “원전 바깥에 있는 방사능 고오염 지역에 추가 부지를 설치해 오염수 보관 탱크를 늘리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어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도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를 갖기 때문에 보관이라는 대안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제품과 ‘3D 상’을 만들어요. 디오라마는 풍경이나 그림을 배경으로 두고 축소 모형을 설치해 역사적 사건이나 영화 속 한 장면을 만드는 거예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없어 특징적인 부분만 남겨두고 다른 것들은 생략해요. 또한, 어떤 작품이든 대중들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요소를 넣기 위해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로블록스 스튜디오(www.roblox.com/create)에 접속해 ‘만들기 시작’을 누르면 설치할 수 있답니다. 강연에선 기본적인 스튜디오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과 지형 만들기, 아이템 배치 방법 등을 배웠어요. 또 블록의 크기와 모양을 직접 조절하고 색을 바꾸며 횃불도 만들기도 했답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유형’과, ‘강수입자가 작은 대신 그 수가 더 많은 유형’입니다.전자는 주로 대륙에 설치된 기기에서 관측됐고, 후자는 바다 위의 섬에서 주로 관측됐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대륙성 및 해양성 집중호우 구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 지구를 관측하지 못했다는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풍력단지 실사 화면을 3D 디지털 모형으로 만들었어요. 해상풍력발전단지는 바다에 설치돼 있어 관리가 어려운데, 디지털 트윈이 있으면 컴퓨터로 이상 징후를 보이는 부품이나 데이터 오류 발생 가능성 등을 즉각 파악해 해결할 수 있어요.디지털 트윈이 적용되는 사례는 또 있어요. 싱가포르는 201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홍릉숲 탐방에 동행한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연구관이 숲 입구에 설치한 인공 새집을 조심히 열었습니다. 박새가 잠시 자리를 비운 둥지는 나무 지붕 아래 진흙, 이끼, 그리고 흰 솜털 순으로 살뜰히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보송보송한 모습이었습니다. 박새 둥지는 도시 속에서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