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로"(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짧은 기억을 저장할 때 최대 7개의 문자나 숫자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서 그보다 적은 수로 쪼개서 외우는 것이 좋다는 내용이다. 그는 사람에 따라 5~9개로 조금씩 다를 수 있다며 7±2로 표현하고, 5~9개로 나눠진 단위를 ‘의미덩이’(청크)라고 불렀다.전화번호를 나타날 때 01023456789라고 쓰지 ...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함께하는 친근한 7을 느낄 수 있었다. 미처 다 살피지 못한 7은 생활 구석구석에 행복한 수로 남아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로는 부산에서 출발해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다. 이 도로의 이름은 바로 7번국도. 우연인지 몰라도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로부산에서 ... ...
-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달거나 교량을 짓는 프로젝트에도 도시설계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청계천을 복원할 때도 수로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도시설계가들이 참여했죠.” 에너지 절약형 도시를 디자인하다국내 도시설계 분야 1세대인 안 교수는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임시행정수도부터 분당, 평촌, 일산, 동백, 고덕, ... ...
- 수를 말하는 기수와 서수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서수를 동시에 쓰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분수를 표현할 때다. 분자는 기수로, 분모는 서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3분의 1을 영어로 말하면 one third, 3분의 2는 two thirds다. 분자가 2 이상일 때는 분모에 s를 붙여 복수 형태로 말한다.이번 호에서 공부한 내용은 특히 해외여행을 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흘려보냈다. 당시 모래가 다 떨어지는 시간이 28초였는데 그 동안 풀려나간 끈의 매듭수로 배의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28초 동안 정확하게 매듭 하나만큼의 끈이 흘려나갔다면 속도는 1노트다. 이것을 시속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쓰고 있는 노트의 속도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어떤 자리가 비었음을 나타낼 수 있어야 했는데, 이를 위해 사용하던 기호를 0이라는 수로 인정한 것이 인도인들의 위대한 점이다.인도의 숫자와 위치 원리의 편리성, 실용성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사람들은 아라비아인이었다. 인도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아리비아인의 손을 거쳐 아랍 제국의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뒤쪽으로 갈수록 희귀해진다. 지금까지는 발견된 가장 큰 피보나치 소수는 81839번째 있는 수로 17103자리의 수다.다함께 찾는 메르센 소수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럿이 함께 메르센 소수를 찾는 계획이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컴퓨터가 ...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수학동아 l2010년 04호
- 하지만 그 뒤 사방(口)을 서로 등지고 나눈(八) 모양에서 넷을 뜻하는 四가 됐어. 만물이 수로 이뤄진다고 주장하던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숫자 4는 특별한 존재였어. 1이 아닌 두 수를 곱해서 나온 최초의 합성수* 라는 거지. 그래서 4는 조화, 질서,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됐어. 그 뒤 그리스의 ...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있다. 그런 의도로 기존에 내신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인원을 정원의 2배수에서 3배수로 늘릴 것을 검토 중이다.올해 연세대 자연계 논술의 출제방향은 무엇이며, 수험생의 어떤 점을 보는가?올해는 과학, 수학 각각 한 문제씩 출제할 것이다. 과학은 예년처럼 통합과학 문제를 출제한다. 두 과목 ...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배치하기 위해 큰 수를 간단히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큰 수는 여러 개의 똑같은 수로 갈랐을 때 나오는 수인 ‘약수’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9는 3을 3번 더하면 얻을 수 있으므로 3은 9의 약수다. 또한 나눗셈의 검산식 형태로도 큰 수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13을 3으로 나누면 몫은 4, 나머지는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