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어린이를 위한 우리 인문학 '만화 한국 신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신화’라고 하면 어떤 말이 떠오르나요? 혹시 그리스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가 먼저 생각나진 않나요?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신비롭고 재미있는 신화가 많답니다. 신화란 고대인들의 생각과 경험이 담겨 있는 이야기예요. 의 주인공은 우리가 한번쯤 들어 본 단군 신화 속 단군 ... ...
-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매력” 번역 작업은 보통 3권을 병행한다. 성인 단행본 한 권과 어린이 책 한 권, 그리고 다음에 번역할 성인 단행본에 대한 밑작업을 동시에 진행한다. 책 한 권을 번역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짧으면 한 달, 길면 세 달. 이렇게 내년 봄까지 작업할 계획이 이미 꽉 차 있다 ... ...
-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도 진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일단 모르는 전화는 그냥 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했어요. 또, “특히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납치됐다는 등의 협박형 보이스피싱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데, 진짜 내 가족인지 아닌지 서로만 알 수 있는 ‘암구호’를 미리 약속해 두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어요. 가족이 보이스피싱에 ... ...
- [출동! 기자단] 펭귄에게 미역을 선물한다면? 동물 행동풍부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과정이랍니다. Q. 어린이들이 직접 만든 행동풍부화물로 펭귄이 좀 더 행복해졌을까요?어린이들이 풍부화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즐거워하는 모습, 그리고 그 즐거움이 펭귄들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이 매우 행복한 경험이었습니다. 또, 일정상 펭귄들이 물건을 사용하는 모습을 오래 관찰하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좋답니다.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을 해 달라고 보호자에게 부탁하거나 어린이 계정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지요. 자, 그렇다면 재미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찾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OTT 서비스를 열어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탐색해 보세요. 만약 영화를 보고 싶다면 화면 위의 ... ...
- [포토뉴스] 집안일은 내가 최고! 한국팀 ‘로보컵 2023’ 2개 부문 우승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부산대서울대의 연합 로봇팀 ‘타이디보이(Tidyboy)’가 제26회 ‘로보컵 2023’ 대회 두 개 부문에서 우승을 거뒀다. 로보컵(RoboCup)은 1996년 창설된 국제 로봇 경진대회다. 로봇과학과 인공지능 기술 연구를 촉진하고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시작됐다. 이번 대회는 7월 4일부터 10일까지 프랑스 보르도에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세상에 없던 혁신을 만든다, AI디자인 “‘AI디자인’은 쉽게 말해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한 디자인 작업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질 겁니다.” 6월 27일 국민대 조형관에서 만난 주다영 AI디자인학과 교수는 AI디자인학과를 2022년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환영합니다. 다만 예산 확보 등 동물원에서 느끼는 부담감은 당연히 있을 거라고 봅니다. 어린이대공원 동물원을 포함해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영동물원들도 현재 국민들이 기대하는 동물복지 수준에 못 미치는 부분이 많은 상황입니다. 특히 이곳은 지어진지 오래되어 시설이 낡고 면적이 크지 ... ...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두 사람의 지문이 같을 확률은 640억 분의 1이라고 해요. 이는 로또 1등 당첨 확률인 840만 분의 1보다 무려 1만 배가량 낮은 확률이죠. 어째서 이처럼 모든 사람의 지문이 다른 걸까요? 지문을 조각하는 단백질 3인방올해 2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 유전학과 데니스 헤든 교수팀은 지문을 만드는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과학을 좋아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봐도 아빠가 사다주신 어린이용 영어 교재나 천자문 정도 외에는 떠오르지 않는다. 이렇게나 외골수로 과학을 좋아하게 된 건 온전히 내 기질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촌 언니 오빠들이 유난히 많아서 새 책보다 물려받는 책이 훨씬 많았고,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