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기원
출처
연혁
근원
역사
원천
d라이브러리
"
유래
"(으)로 총 1,0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바이러스와 세포의 진화역사를 하나로 합친 최초의 계통도가 탄생했다.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작물학과의 구스타보 캐 ... 구스타보 교수는 “바이러스가 (세포와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
했으며, 오늘날 세포의 조상과도 공존했다”고 주장했다 ... ...
야구는 수학 놀음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게 아니다.[SABR★ 미국야구통계학회의 약자로 세이버매트릭스(SABeRmetrics)는 이것에서
유래
됐다. 빌 제임스가 처음 고안해낸 세이버매트릭스는 야구 데이터를 통계·수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이제는 단순한 개인의 취미 차원을 넘어서 야구 전반에서 쓰이고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 ...
[수학뉴스] 1729의 숨겨진 의미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병원에 입원했을 때 동료 수학자였던 고드프리 하디가 병문안을 간 날의 대화에서
유래
합니다. 당시 하디는 타고 온 택시 번호가 1729라는 재미없는 수라고 투덜거렸습니다. 이에 라마누잔은 “1729는 두 수의 각 세제곱을 더해 나올 수 있는 방법이 2가지인 수 가운데 가장 작다”며 재미있는 수라고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정사각형(113.3m × 113.3m) 모양의 주거 블록으로 채우는 것이었다.에이샴플라는 세계적으로
유래
를 찾기 힘든 현대적인 도시 계획이었다. 기존의 바로셀로나 구도심은 도로 폭이 평균 4m에 불과했다. 채광과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도로에 습기와 악취가 가득했다. 에이샴플라 지구는 블록 주변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합리적인 것을 뜻하는 ‘rational’은 모두 논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logos’에서
유래
한 말이다. 자연수의 비율로 나타낸다는 것은 곧 자연수를 합리적으로 다룬다는 의미다. 이런 이유로 유리수의 집합을 비율을 뜻하는 라틴어 ‘quotiens’의 첫 글자인 Q로 표시하기도 한다.1과 자기 자신으로만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뜻하는 ‘표’로 이루어졌다. 옛날 중국에서 종이 대신 나무에 표시하던 것에서
유래
했다.‘시각’에서도 기준이 되는 것이 있다. 만약 기준이 없다면, 서울과 독도에서 태양이 뜨는 시각이 다른 것처럼 지방에 따라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우리가 태양을 기준으로 시각을 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부릅니다. 동양의 황금비라고도 불리는 금강비는 금강산 또는 금강석에서
유래
된 이름이라고 해요. 둘 중에 무엇을 따서 붙인 이름인지 정확하진 않지만 모두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그만큼 아름다운 비라는 뜻이겠지요.경복궁에서 근정전은 궁궐의 위엄을 드러내면서도 아름다움을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도둑도 도둑!표절의 영어단어인 plagiarism은 ‘납치하는 사람’이라는 뜻인 plagiarus에서
유래
했다. 표절이라는 단어를 이루는 한자도 ‘훔친다’는 뜻이다. 글쓰기에서 표절은 다른 사람의 작품, 연구 내용을 글에 가져와서 쓸 때 적절한 인용 부호와 출처 표시를 빼 마치 글쓴이가 창작한 것처럼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용하게 됐고, 북한에서는 러시아어를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독일어, 일본어 등 외래어
유래
원에 기반한 조선어를 표기하게 됐다.남북한이 통일 전후로 원활한 교류와 협력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이런 용어부터 통일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따라서 현재 북한 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조사하고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쓰였다.주파수의 단위인 Hz(헤르츠)는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의 이름에서
유래
했다. 헤르츠는 처음으로 전자기파의 존재를 눈으로 보여줬다. 헤르츠는 실험을 통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회로에서 한 곳에 전기 불꽃을 일으키면 거의 동시에 다른 곳에서도 전기 불꽃이 피어나는 현상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