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앙"(으)로 총 3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과학동아 l1990년 10호
- 상승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수면이 수십㎝만 상승해도 전세계적으로 해안지대는 큰 재앙을 맞는다.알래스카대학 페리그노교수는 최근 수년간 네군데서 대규모의 얼음덩어리가 바다로 흘러갔다고 학회에 보고했다. 라젠과 필크너빙붕(氷棚, ice shelf)으로부터 약 2만3천㎢의 얼음덩어리가 ... ...
- 15년 후에나 개발가능과학동아 l1990년 08호
- 주장이 있으나 지면침하 가스폭발 침출수처리 등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계획은 새로운 재앙을 부를 수 있다.서울시민이 버리는 쓰레기 2만7천 t이 난지도에 매일 쌓이고 있다. 지난 78년부터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된 난지도는 현재 총면적 88만9천평 중 매립 가능지역 60여만평 모두가 포화상태다. 지면 ...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과학동아 l1990년 08호
- '죽음의 신'이라 여겼고, 동양 점성술에서는 화성이 접근할 때 왕이 궁을 떠나면 불길한 재앙이 왕에 미친다고 믿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전갈자리는 오리온(Orion 겨울철의 대표적 별자리)을 잡기 위해 아폴로(Apollo)가 풀어 놓은 거대한 전갈로 전해진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전갈자리가 동쪽에서 뜰때 ... ...
- 상처를 찾아라과학동아 l1990년 08호
- 혜성이 약 6천5백만년 전에 지구와 충돌하여 공룡과 그 밖의 많은 생명체를 멸종케한 재앙을 일으켰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물체가 정확히 어디에 충돌했는가? 지구상 어디엔가 상처를 남겨 놓았을 터인데 말이다.사실 충돌이 만들어 낸 '화석분화구'는 지구 전역에 ... ...
- 체르노빌 사고 이후의 생태계 변화과학동아 l1990년 07호
- 의미를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하지도 않은채 '인류에의 교훈'을 무시한다면 제2, 제3의 재앙이 반복되지 않으리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 그런 의미에서 '체르노빌 원전은 95년까지 완전 폐쇄해야 하며 주변 지역을 완벽하게 차단, 생태계에 대한 방사능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특별지역으로 ... ...
- 상승하고 있는 지구온도 새 빙하기는 언제 오는가?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가 격변을 낳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선험적 단정이 큰 재앙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는 그런 체계속에 우리는 살고 있다. ...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손실을 입었다. 인간의 발길이 드문 남극의 자연환경은 순간이라도 방심하면 엄청난 재앙을 초래하고 또 그 회복이 상상밖으로 느리다.88년 6월 뉴질랜드 웰링톤에서는 남극지하자원개발방안이 합의됐다. 이 합의에 따르면 환경보호에 역점을 두면서 지하자원을 개발하도록 했다. 그러나 ... ...
- PARTⅠ풍력발전과학동아 l1990년 01호
- 등 유익한 일면이 있는가 하면 태풍이나 돌풍으로 돌변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었던 재앙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바람을 이용하여 범선을 움직였고 양수와 관개, 탈곡에 필요한 동력을 얻기도 하였으며, 특히 근래에는 바람으로부터 전기나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 중에서 가장 ... ...
- 생물의 명멸과학동아 l1989년 12호
- 기본구조를 지닌 생물이 탄생했다. 이들은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에 있었던 '페름기의 대재앙'에 의해 멸종했는데, 페름기에는 바다속에 사는 무척추생물의 95%가 일시에 사라졌다. 또 중새대 말 백악기 때에는 공룡이 자취를 감추었고 대신 포유류가 황금시대를 맞게 되었다.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과학동아 l1989년 12호
- 보다 적극적인 조치들이 취해질 것으로 보인다.8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걱정, 새로운 재앙은 온실효과와 오존감소이다. 이 두가지도 물론 일부학자들이 수십년 전에 예고했던 것이지만 80년대 들어 온실효과의 실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오존감소가 관측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많은 과학자와 ... ...
이전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