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게임을 과도하게 즐기는 것이 게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의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팀은 2014년부터 4년간 과도하게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판단된 청소년 2000명에 대해 설문조사와 대면 인터뷰를 진행하며 게임 사용 패턴을 추적했고, 그 결과를 ‘게임이용자 패널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무질서도)의 정의부터 통계적 엔트로피, 정보 엔트로피 등 엔트로피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설명하고, 엔트로피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여러 현상을 발표했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날카로운 질문들이 쏟아졌다. 동아리 선배인 정세진 씨(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가 “엔트로피에 대한 식을 풀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샌드위치 정리로 설명할 수 있어요. 이산수학에서 점들의 집합의 부피는 점의 개수로 정의되기 때문에 똑같은 원리를 적용할 수 있고, 점들이 아무리 뿔뿔이 흩어져 있어도 직선 하나로 2등분할 수 있어요. 물론 이 경우에도 3개의집합이 흩어져있다면 각각 반으로 나누는 직선은 없을 수 있어요. ... ...
- [혀의 진화]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고려대와의 랩 배틀에서 꼭 승리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 RYU 부회장인 박신욱 씨(사회정의리더십과 2학년)는 “올해 고려대와의 랩 배틀에 선발되도록 열심히 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래퍼로 성장할 수 있는 데까지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의지를 드러냈다. 고려대 테라(TERRA)RYU를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상태로 용액 속에 녹는데, 이 H+는 우리가 흔히 산성도(pH)라고 일컫는 특성을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H+가 많이 녹아 있을수록 강한 산성을 나타내며, 이런 특성은 화학, 의료, 생물학을 비롯한 과학 전 분야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염산(HCl)이나 황산(H2SO4) 같은 강산성 물질부터 과일 주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써내는 내용보다 훨씬 많은 것들을 공부하고 고민하게 된다). 찾아본 결과 우주 비행의 정의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국제 우주비행사 모임인 우주탐험가협회(ASE)에서 회원 자격으로 삼는 ‘궤도 비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전 세계 우주인은 559명이고, 그 중 여성 우주인은 63명으로 10%가 조금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셈이다.초등학교 3학년 때 부모님을 따라 캐나다 밴쿠버로 간 박신욱 씨(연세대 사회정의리더십과 2학년)는 고등학교 때까지 학창시절을 외국에서 보냈다.박 씨가 캐나다에서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한국으로 온 것은 한국의 랩과 젊은이들의 문화에 매료돼서다. 래퍼 빈지노, 도끼, 스윙스의 랩을 ... ...
- 영화 ‘샤잠!’으로 본 ‘핵인싸’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미국의 발달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은 ‘자기 정체성(identity)’을 확립하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청소년이 정체성과 혼돈의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체성 확립을 위해 청소년에게 필요한 요소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어떤 집단에 속해서 책임과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3을 더했을 때 0이 되게 하는 수’로 정의되고, 무리수 는 ‘제곱해서 2가 되는 수’로 정의되는 식이죠. 경험으로 수학을 배우는 초등학교, 경험을 넘어선 논리로 수학을 배우는 중학교 이후 교과서에서 수를 다르게 다루는 이유를 아시겠죠? 이처럼 수학 교과서는 단순히 어렵고 쉬운 문제의 ... ...
- [수학뉴스] 편견을 열정으로 이겨낸 소피 제르맹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떤 소수에 2배를 해 1을 더한 값도 소수가 되는 소수 p를 ‘소피 제르맹 소수’라고 정의한 뒤 해가 소수인 경우 페르마의 정리가 성립한다는 ‘소피 제르맹 정리’를 증명했지요.1831년 암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제르맹은 수학자로 인정받지 못했는데요, 훗날 가우스는 제르맹의 업적을 높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