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위"(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모이게 했어요(➊). 또, 이것으로 만든 액체방울은 자성을 가져 자석을 갖다 대면 그 주위로 모였어요(➋). 마지막으로 전기장을 가하자 액체방울을 둘러싼 계면 활성제가 위아래로 분리되며 빈틈을 통해 내부 물질도 교환했어요(➌). 연구팀은 “액체방울에 약물을 가둬 원하는 곳에 이동시키는 등 ... ...
- [가상인터뷰] 알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날개는 회색인데 날개 끄트머리와 꼬리는 검은색에 가까운 짙은 회색이야. 그리고 눈 주위에는 붉은색 고리 무늬가 있어.우리는 주로 연못이나 해안가에서 어류, 곤충, 파충류 등을 먹으며 생활해. 3월 중순이나 5월 초 사이에 약 3개의 알을 낳지. 우리가 낳은 알은 27~31일 사이에 부화한단다 ... ...
- [실전!반려동물] 장마철, 멍이와 냥이의 피부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자란답니다. 반면 털이 자라는 방식은 종과 상관없이 비슷해요. 태어나면 눈썹과 입 주위, 뺨에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촉각모가 나오고, 이후 머리에서 등 쪽으로 퍼지듯이 나다가 마지막으로 주둥이와 다리에 나며 온몸을 뒤덮지요. 한 모낭에서 길게 뻗은 주모와 주모를 지탱하는 짧은 부모가 함께 ... ...
- [섭섭박사 실험실] 추억은 방울방울 비눗방울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여유롭게 산책하던 섭섭박사님은 눈앞에 둥둥 떠다니는 비눗방울을 발견했어요. 주위를 둘러보니 공원에 놀러 나온 꼬마가 비눗방울 놀이를 하고 있네요. 섭섭박사님도 어렸을 적에 비눗방울 놀이를 참 좋아했는데…. 간만에 솜씨를 발휘해 비눗방울 장난감을 만들어 볼까요? 어떻게 된 걸까?▷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히어로로 거듭났듯, 여러분도 누구나 빅데이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바로 지금,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바꾸고 싶은 점을 찾았나요? 그러면 얼른 COMPAS에 접속해 다른 친구들에게 내 의견을 나눠보세요! 작은 문제부터 큰 문제로 나아가다 보면 어느새 여러분의 등에도 커다란 빅데이터 망토가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아이스맨은 자기 자신을 얼음으로 변하게 하는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 주위의 습기를 모아서 얼음을 만들 수도 있고, 다른 사물의 온도를 확 낮춰 얼려버릴 수도 있다.생물학적으로는 신체를 얼음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체를 얼릴 수는 있어도 온몸의 세포가 얼어버리면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보지 못하셨나요? 누군가 제 초대장을 들고 파티에 참석했을지 모르거든요.”꿀록이 주위를 둘러보며 말했어요.“그러고 보니, 조금 수상해 보이는 동물이 있긴 했는데…. 초대장을 내밀며 눈을 피하더라고요. 처음 보는 동물이었어요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만약 여러분이 지금 바다 한복판에 있다면,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주위를 둘러보아도 보이는것이 수평선뿐이라면요? 옛날 뱃사람들이 위치를 찾는데 이용한 것 중 하나는 북극성이에요. 북극성은 항상 북쪽 밤하늘에 떠 있으니, 하늘이 흐리지만 않다면 북극성을 기준으로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에 따라 자연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존재한다. 철을 포함해 주기율표에서 철 주위에 있는 금속들(크로뮴, 망가니즈, 코발트, 니켈)이 지구상에는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데, 이런 현상을 전문 용어로 ‘철 고점(iron peak)’이라고 한다. 양이 많은 만큼 철이 포함된 4주기의 전이금속이 5,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사실 ‘태양과 비슷한 별 주위’라는 표현을 굳이 넣은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외계행성 자체가 최초로 발견된 건 1995년보다 3년 앞선 1992년이었다. 주인공은 당시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NAIC)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였다.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