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로"(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진로에 큰 도움이 됐다. DGIST의 학부전담교수제 역시 이런 식으로 진 씨가 대학에서 향후 진로를 모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 없이 학생들에게만 집중하는 교수님이 있다는 사실이 든든하게 느껴졌다. 그는 앞으로 대학에서 꼭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로 바이올린 배우기를 ... ...
- 최초의 수학문화관,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각 콘텐츠에 대해 설명을 자세히 들을 수 있다. 3층에는 학생들이 수학 성적 및 적성, 진로에 대한 고민을 상담하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는 ‘수학클리닉실’, 프로그래밍과 로봇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배울 수 있는 ‘SW교육체험실’이 있다. 경남수학문화관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은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특허 등 연구 성과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온전히 학생들의 교육에 집중할 수 있고, 진로 및 생활에 대한 조언도 할 수 있다. 최 입학처장은 “교수 인원 대비 논문이나 특허 수로 학교를 평가하기 때문에 학부전담교수제가 학교 입장에서는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 제도는 학생들을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쓰고 있다. 캠프를 준비하고 소식지를 만들면서 후배와 동료들을 돕고 동시에 자신의 진로도 탐색하고 있다고. 김 씨는 “전기·정보공학부 졸업생 중에는 스타트업, 변리사, 로스쿨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분들이 많고 많은 기업에서 우리 학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학자의 꿈은 2014년 수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자율 동아리를 만들면서 탄생했다. 미국에서 수학자의 연봉이 1위라는 기사를 보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수학자 또는 수학교사가 되는 꿈을 키워보자는 취지로 동아리를 만들었다. 강원도에서 자유학기제를 시작한 2016년부터는 자유학기제 동아리 ...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스마트폰 앱 경진대회나 게임개발경진대회가 열리는 학교도 많습니다. 컴퓨터 관련 진로를 꿈꾸는 학생이라면 도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앱 만들기나 게임 만들기 자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런 자료를 찾아보면 도움이 됩니다. 또 동아리 활동의 일환으로 친구들과 함께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관심있는 탐구 주제를 직접 선정해 결과물을 도출하고 발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어요. 진로 선택 과목은 대부분 수학을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과목이기 때문에 해당 과목과 관련된 책이나 뉴스를 보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직접 주제를 선정하는 수학과제 탐구 과목을 뺀 다른 과목은 이미 ...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노력도 필요하다. 동아리 활동은 학생부 내의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란에 자율·봉사·진로활동과 함께 기록된다. 해당 내용은 동아리 담당 교사나 담임교사가 기재하기 때문에 자신의 활동이나 생각에 대해 해당 선생님들과 소통이 필요하다. 요약하자면, 학종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 단어로 보여줄 수 있는 키워드를 정해 이를 중심으로 일관되게 표현하는 것이 좋다. 진로 희망과 관련된 심화학습 또는 탐구활동과 관련된 문항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지원자의 재능과 우수성을 입증해야 한다. 외국어고와 국제고도 자기소개서에 영어 등 인증시험 점수, 교내외 대회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완벽한 진로 활동을 하겠다고 마음먹는 순간 이런 작은 기회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진로 탐색과 설정은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신만의 학생부를 완성하는 첫 번째 출발점은 본인의 미래에 대한 성실한 고민의 흔적이라는 점을 잊지 말자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