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인
인덱스
목차
d라이브러리
"
찾아보기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초중등 과학교육은 교육제도나 교육과정상으로 보면 한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른 점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과학교육을 지원하는 체제 즉 학교시설이 우리보다 훌륭하고, 학급당 학생수가 30~40명으로 학습하기에 적당한 규모다. 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실험 기자재를 문부성 기준령의 100%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동원된 연구개발인원, 투입된 연구개발비, 시장규모 등 어느모로 보아도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거대프로젝트다.TDX개발사업의 첫성과가 나온 것은 지난 86년 3월. TDX-1(1만회선 규모)이 경기도 가평 등 네개 농촌전화국에서 개통됐다. 그후 이보다 10배 규모인 TDX10(10만회선 규모)의 상용실험을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조그마한 고리모양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와같은 발견은 두번째이며 우리가 하늘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이는 '중력렌즈'로 불린다.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아인슈타인박사가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해 냈던 지난 1916년에 있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35번 별인 5등성의 동북쪽 1˚ 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M106은 사냥개I 은하군에서 가장
찾아보기
쉽다. 8.3등급의 광도와 18.2′~7.9′의 큰 크기로, 7배 망원경으로도 가늘고 긴 모습을 볼 수 있다.센타우르스 자리에도 많은 은하들이 모여 있는데 이 은하군에는 바다뱀자리와 M83과 NGC5128의 두 유명한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않았다. 더군다나 가까운 장래에 이러한 기계가 완성되리라고 장담하는 사람도 요즘은
찾아보기
힘들다.AI연구자들의 과대선전(?)생각하는 기계. 기계가 인간과 같이 생각하고 느낌을 가지며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가.로봇(robot)이란 말을 만들어낸 희곡작가 차펙은 인조인간(로봇 ... ...
3. 중대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당면과제다.톨러런트와 타이컴국내 중대형컴퓨터 시장은 PC시장과는 달리 국산기술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것은 국내 컴퓨터업체들의 생산기술이 워크스테이션의 조립생산단계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미니컴퓨터 제조와 관련된 국산화작업으로는 행정망 주전산기 개발계획과, 삼성 금성 등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예를 들어 용높지대의 육화(陸化)되어 가는 모습, 그리고 북통발이라고 하는 남한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식충식물 등은 교사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대암산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는 비로용담과 끈끈이주걱 그리고 희귀식물인 제비동자꽃 개느삼 등을 하나씩 찾아 확인하는 즐거움을 교사들 ... ...
PART IV 뉴미디어와 인간생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하겠다. 다시 말해서 모든 자료가 컴퓨터시설의 발달로 저장이나 관리가 용이하고
찾아보기
가 쉬워져 일하기가 매우 편리해졌지만 자기도 모르게 개인적인 정보가 입력, 관리되어 예기치 못한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특히 정부가 사회복지나 개인행동의 사회적 관리 등을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도착한 서적들로 서가를 꾸미기에 한창 바쁜 상태다. 캠퍼스가 워낙 넓어 학생들을
찾아보기
가 힘들지만 도서관과 기숙사에만은 학생들로 북적댄다.이번에 입학한 신입생들은 여학생들을 포함, 전원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캠퍼스의 동 서쪽에 한 동(棟)씩 지어진 기숙사에는 1천8백명까지 학생들을 ... ...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한다는 지도교수의 설명이었다.이어 수중폭발한 성산일출봉의 분화구와 육지에서
찾아보기
힘든 육계도 석호를 관찰했다. 성산포를 비롯, 그 후에 탐사한 서귀포일대의 해안지형에는 해식애 주상절리 해식동굴 등이 부지기수로 눈에 띄어 제주도가 자연학습의 '산교육장'이라는 사실을 실감나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